"브릿지론 규모 30조원…만기연장 비율은 70% 추산"

금융당국이 태영건설 워크아웃을 계기로 금융권이 보유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 강도 높은 수술 의지를 밝히면서 그 범위가 어느 정도일지 주목된다.

금융당국은 금융시장 최대 뇌관으로 꼽히는 PF 대출이 부실화해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전반의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리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 "PF 대출 130조 중반 중 브릿지론 30조·만기연장 비율 70%"
금융당국 부동산 PF부실 정리 본격화…"집중관리대상 숫자 있다"
2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PF 대출잔액 규모는 130조원 중반에 달한다.

이중 브릿지론이 약 30조원, 본 PF가 약 100조원일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원은 지난해 상반기 중 증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취급한 PF의 만기 연장 비율은 브릿지론은 70%, 본 PF는 50%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부동산시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향후 부실 발생 규모는 예상 밖으로 매우 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PF 시장은 착공 이전 단계에서 시행사가 토지매입을 위해 조달하는 자금인 브릿지론과 사업 인허가와 시공사 선정이 이뤄진 이후 브릿지론 상환과 건축비용 조달을 위한 본 PF라는 이중 대출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저축은행 등 주로 2금융권에서 높은 이자를 내고 빌려 쓰는 브릿지론은 가장 위험한 단계로,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촉발한 바 있다.

만기 연장이 이뤄진 사업장은 분양이나 매각 실패가 이뤄진 경우여서 그 자체로서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혁준 나이스 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재작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정부가 수습했고 작년에 PF 대주단 협약 등을 통해 시간을 벌어주는 동안 PF 축소와 정리를 추진했는데 결과적으로 그냥 만기 연장만 하고 별로 줄지는 않았다"면서 "계속 이런 방식으로 올해는 갈 수 없다고 보고, 이제 좀 정리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 "집중관리대상 규모 있다" 금융당국 부실 PF 구조조정 속도 압박
금융당국 부동산 PF부실 정리 본격화…"집중관리대상 숫자 있다"
금융당국은 향후 담보가치 등 사업성 평가를 엄격히 해서 충당금 적립을 강화하도록 하고, 밀착 점검을 통해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집중관리 대상으로 꼽는 숫자가 있다"면서 "사업성이 없는 것을 단순히 만기 연장으로 그냥 끌고 가면서 부실 인식을 늦추는 것은 막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담당 임원을 소집해 본 PF 전환이 안 되는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손실을 100%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할 것을 요청했다.

또 공사지연 또는 분양률이 낮은 본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단계적인 충당금 적립으로 손실 흡수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이 충당금 적립 압박을 통해 경공매나 매각 등 재구조화까지 유도하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방침이다.

또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브릿지론 상태에서 본 PF로 전환이 안 되고 그냥 계속 지금 시간만 끌고 있는 것들은 충분히 손실 인식을 하라는 것"이라며 "사업장들이 땅이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돈도 묶여 있고 사업도 안되고 하는 상태여서 그것을 지금 빨리 적정한 가격에 팔고, 이를 낮은 가격에 산 사람들이 다시 사업을 진행해야 건설경기가 일어나는 구조"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