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A "무역기술장벽 높아져…정부 지원 절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무역장벽과 기술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EA는 2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4000여 건의 기술규제가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되고 있다”며 “무역기술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수출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KEA는 개별 기업이 규제에 대응하는 데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기술표준원 등 정부 기관과 업계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청원 KEA 부회장(사진)은 “세계 각국에서 규제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신속한 정보 파악과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 파악은 규제에 대한 최고의 대비책”이라며 “정보 전달과 애로 발굴이 빠를수록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무역장벽을 극복하는 데 KEA가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박 부회장은 “규제가 많은 유럽연합(EU)은 제정 또는 개정 단계인 환경·에너지 규제 정보를 파악해 수출 기업에 알리고 있다”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업계를 대표해 규제 기관에 직접 의견을 건의한다”고 말했다.

KEA는 전자·IT산업 발전을 위해 1976년 설립된 전자·IT업계 대표 단체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