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핫라인 구축·공동위원회 구성…쌀 공급 등 식량 안보도 강화
필리핀·베트남, '中과 분쟁' 남중국해 협력 확대 합의
필리핀과 베트남이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협정을 30일 체결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이 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가운데 양국은 이날 '남중국해 사고 예방'과 '해양경비대 협력'에 관한 2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협정에는 해양경비대 간 핫라인 구축과 양국 공동 문제를 논의할 해양경비대위원회 구성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필리핀 정부는 성명을 통해 양국이 해양 문제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고 신뢰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세부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회담에 앞서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한 필리핀의 전략적 파트너"라며 해양 협력이 양국 관계의 기반이 됐다고 말했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세계와 지역 정세가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며 "양국이 단합하고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 영역이 자국 영해라고 주장한다.

필리핀은 국제상설재판소(PCA)에 소송을 제기했고, 2016년 중국 주장이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그러나 중국이 이를 무시하면서 필리핀과 베트남 등 인근 국가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특히 필리핀과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물리적 충돌을 빚고 강력한 경고성 메시지를 주고받는 등 신경전을 이어오고 있다.

필리핀과 베트남은 식량 안보와 관련해서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베트남은 필리핀에 매년 쌀 150만∼200만t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기로 했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 쌀 수출국 중 하나다.

쌀을 수입에 의존하는 필리핀은 최대 곡물 수입국 중 하나다.

필리핀이 수입하는 쌀의 85%가 베트남산이다.

기후 변화로 인한 공급 부족과 일부 국가의 수출 중단 등으로 지난해 국제 쌀 가격이 급등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