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탄소중립 실현 위해 국산목재 이용 활성화 시대 열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송현호 산림조합중앙회 유통지원부장
산림녹화사업을 추진한 지 50년이 넘어가면서 임업계 안팎에선 풍족해진 산림자원을 활용해 목재 이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목재는 공기 중 탄소를 흡수·격리하며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통계 산정에도 목재제품이 포함돼 있다.
목재는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기도 하다.
또한 사람은 목재 친화적인 공간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얻는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금도 전국에서 목재 친화적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목재의 효과와 수요가 이토록 분명하지만, 국내 목재 자급률은 15%대에 머물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이 크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목재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다.
이제 목재 이용을 확대시켜 국가 탄소중립 계획 달성에 기여하고 목재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과 실행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선 산주와 임업인들에게 원목 수확과 유통을 확대할 유인책을 제공해야 하며 목재 소비처를 늘리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국내 목재 자급률이 낮은 주된 이유는 전문인력과 임도 등 산림경영 인프라가 부족해 임업기계화율이 낮아 생산비가 많이 들고, 목재 수확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 목재 수확 자체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측은 높은 생산비로 인해 비싸진 국산 목재보다 저렴한 수입 목재를 선호하고 있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선 산주가 목재 수확과 유통을 통해 안정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생산원가를 낮춰 줄 산림경영의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특히 국내 산림의 약 66%는 사유림이기 때문에 목재생산을 늘리기 위해선 산주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며 우선해야 한다.
이와 함께 목재 수확 방식을 환경친화적으로 개선해 나가면서 경제성과 국민복지를 위한 목재수확 필요성에 관해 알려 더 많은 국민에게 공감을 얻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목재 소비처를 늘리기 위한 제도 마련에 힘써야 한다.
이미 목재는 건축자재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는 공공시설 건축 시 국산목재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를 ‘의무화’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전북 등의 지자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공공 건축 시 지역생산 목재 우선 사용 등을 권장하고 있어 목재 이용 촉진 사례로 귀감이 되고 있다.
이처럼 다른 지자체도 조례를 통해 목재 이용 활성화에 힘쓴다면 산림정책과 좋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 산림조합은 산림경영지도사업을 통해 산주의 사유림 경영을 지원하거나 산주가 수확한 임목을 최고가로 매각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소경목 등을 활용한 목재 신제품 개발을 추진해 국산목재 소비 촉진을 도모하고 있다.
임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 목재자급률 제고를 위해 가장 절실한 건 국민의 관심과 지지다.
목재는 세계인이 사용하는 자원이며 탄소중립이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더욱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언제까지 수입 목재만 사용할 순 없으며 수확기에 도달한 국내 산림의 노령화를 방지하고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국산 목재의 공급과 수요가 확대되어 국가 탄소중립 계획 실현에 기여하고 산림과 임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민에게 목재 이용을 적극 권장해 본다.
산림녹화사업을 추진한 지 50년이 넘어가면서 임업계 안팎에선 풍족해진 산림자원을 활용해 목재 이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목재는 공기 중 탄소를 흡수·격리하며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통계 산정에도 목재제품이 포함돼 있다.
목재는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기도 하다.
또한 사람은 목재 친화적인 공간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얻는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금도 전국에서 목재 친화적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목재의 효과와 수요가 이토록 분명하지만, 국내 목재 자급률은 15%대에 머물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이 크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목재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다.
이제 목재 이용을 확대시켜 국가 탄소중립 계획 달성에 기여하고 목재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과 실행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선 산주와 임업인들에게 원목 수확과 유통을 확대할 유인책을 제공해야 하며 목재 소비처를 늘리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국내 목재 자급률이 낮은 주된 이유는 전문인력과 임도 등 산림경영 인프라가 부족해 임업기계화율이 낮아 생산비가 많이 들고, 목재 수확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 목재 수확 자체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측은 높은 생산비로 인해 비싸진 국산 목재보다 저렴한 수입 목재를 선호하고 있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선 산주가 목재 수확과 유통을 통해 안정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생산원가를 낮춰 줄 산림경영의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특히 국내 산림의 약 66%는 사유림이기 때문에 목재생산을 늘리기 위해선 산주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며 우선해야 한다.
이와 함께 목재 수확 방식을 환경친화적으로 개선해 나가면서 경제성과 국민복지를 위한 목재수확 필요성에 관해 알려 더 많은 국민에게 공감을 얻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목재 소비처를 늘리기 위한 제도 마련에 힘써야 한다.
이미 목재는 건축자재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는 공공시설 건축 시 국산목재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를 ‘의무화’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전북 등의 지자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공공 건축 시 지역생산 목재 우선 사용 등을 권장하고 있어 목재 이용 촉진 사례로 귀감이 되고 있다.
이처럼 다른 지자체도 조례를 통해 목재 이용 활성화에 힘쓴다면 산림정책과 좋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 산림조합은 산림경영지도사업을 통해 산주의 사유림 경영을 지원하거나 산주가 수확한 임목을 최고가로 매각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소경목 등을 활용한 목재 신제품 개발을 추진해 국산목재 소비 촉진을 도모하고 있다.
임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 목재자급률 제고를 위해 가장 절실한 건 국민의 관심과 지지다.
목재는 세계인이 사용하는 자원이며 탄소중립이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더욱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언제까지 수입 목재만 사용할 순 없으며 수확기에 도달한 국내 산림의 노령화를 방지하고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국산 목재의 공급과 수요가 확대되어 국가 탄소중립 계획 실현에 기여하고 산림과 임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민에게 목재 이용을 적극 권장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