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물 CD액티브 ETF 나온다…"금리형 투자 끝판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 6일 상장
김남기 부사장 "ETF 시장 혁신"
미래운용 vs 삼성운용 점유율싸움 점입가경
김남기 부사장 "ETF 시장 혁신"
미래운용 vs 삼성운용 점유율싸움 점입가경

“1년물 CD금리 추종…금리 향배 걱정없이 투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ETF를 오는 6일 신규 상장한다고 1일 밝혔다. 김남기 미래에셋운용 ETF운용부문 부사장은 “금리형 ‘끝판왕(최고)’ 상품”이라며 “ETF 거래가 처음 등장했을 때 펀드 투자의 혁신을 이끈 것처럼 이번 ETF도 기존에 없던 시장 혁신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매일 이자를 지급해 하루만 투자해도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CD 1년물 금리의 하루치 이자가 매일 복리로 쌓이는 구조라 투자금이 불어나는 일복리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 상품이 은행 정기예금과 파킹통장, 머니마켓펀드(MMF) 등 현금성 상품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사실상 은행의 1년 정기예금 수준 금리를 투자자에게 제공하면서 환금성은 정기예금보다 더 높아서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FICC ETF운용본부장은 “시장이 당초 예상한 금리 인하 시기에 비해 실제 인하 시점이 늦어질수록 시장은 변동성을 보인다”며 “이런 시기엔 금리형 상품에 투자하는 게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 ETF에 대한 수요가 한동안 꾸준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 ETF는 채권혼합형으로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100%까지 투자할 수 있다. 연금 계좌를 활용해 거래하면 인출 시점까지 과세가 이연되고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금리형 역대 최대' 2300억원 규모…점유율 경쟁 격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 ETF를 2300억원 규모로 상장할 예정이다. 국내 상장 금리형 ETF 중 역대 최대 규모다.미래에셋자산운용이 새 금리형 ETF를 대규모로 출시하면서 국내 ETF 시장 1위를 둔 운용사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내 ETF 시장 규모는 순자산 기준으로 약 124조3400억원이다. 업계 1위인 삼성자산운용이 점유율 40%를,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37%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삼성자산운용이 점유율 50%를 웃돌았지만 후발주자들이 매섭게 추격하면서 점유율 차이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조(兆) 단위 뭉칫돈이 몰리는 금리형 ETF가 점유율 경쟁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20년 상장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CD금리투자KIS’는 전체 ETF 순자산총액 1위로 삼성자산운용을 소폭 앞서고 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