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버스터급 고용…美 노동시장 미스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용 수치 과장' 가능성 제기
가정·기업 조사 결과 사이 격차↑
가정·기업 조사 결과 사이 격차↑
지난달 미국에서 생긴 신규 일자리 수가 시장 추정치의 두 배 수준을 기록한 데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왔다. 역대급 강추위 속에서도 신규 일자리가 급증하자 미국의 강한 노동시장이 재확인돼 미 중앙은행(Fed)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관측이 많다. 하지만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도 있어 실제보다 고용 수치가 과장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일 ‘일자리 미스터리’라는 기사를 통해 “빠른 속도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데 고용주들은 그 인력을 어디서 찾고 있을까”라며 미국 노동시장 실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일자리는 전월 대비 35만3000개로 전문가 추정치(18만 개)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지난해 1월(48만2000개) 후 1년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신규 일자리가 ‘블록버스터급’으로 늘어난 1월에 미국 중서부에 폭설이 내렸고 북동부에선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했다”며 “2월 수치에서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일자리 수뿐 아니라 취업자 수도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신규 일자리가 증가하면 취업자가 늘어나는데 1월 고용보고서에선 그렇지 않았다. 1월에 신규 일자리가 급증했지만 취업자 수는 3만1000명 감소했다. 일자리 증가로 노동 수요가 폭증했는데 1월 평균 근로 시간은 주당 34.1시간으로 한 달 전보다 0.2시간 줄었다.
기간을 늘려도 상황은 비슷하다. 최근 1년간 신규 일자리는 290만 개 증가했다. 일자리가 늘어나면 취업자와 취업희망자가 증가해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이 상승한다. 그러나 1월 실업률은 3.7%로 되레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경제활동참가율도 62.5%로 62.4%인 1년 전과 거의 차이가 없다.
WSJ는 고용보고서의 조사 방법 때문에 이런 불일치 현상이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고용보고서는 기업조사와 가계조사로 나뉘는데 기업조사에 비해 가계조사에서 고용 증가세가 훨씬 보수적으로 잡힌다는 설명이다. 신규 일자리 수는 기업조사를 통해 산출되며 취업자 수,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은 가계조사로 집계된다. 이민자 통계도 괴리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꼽혔다. 미 노동부가 고용보고서를 작성할 때 참고하는 인구조사국 통계(센서스)는 미 의회예산국이 집계하는 통계 수치보다 적다.
WSJ는 “통계 불일치에 대해 일부 설명은 가능하지만 노동시장이 과열 없이 얼마나 빨리 진전되는지에 대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며 “이런 불확실성은 Fed가 선뜻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일 ‘일자리 미스터리’라는 기사를 통해 “빠른 속도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데 고용주들은 그 인력을 어디서 찾고 있을까”라며 미국 노동시장 실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일자리는 전월 대비 35만3000개로 전문가 추정치(18만 개)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지난해 1월(48만2000개) 후 1년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신규 일자리가 ‘블록버스터급’으로 늘어난 1월에 미국 중서부에 폭설이 내렸고 북동부에선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했다”며 “2월 수치에서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일자리 수뿐 아니라 취업자 수도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신규 일자리가 증가하면 취업자가 늘어나는데 1월 고용보고서에선 그렇지 않았다. 1월에 신규 일자리가 급증했지만 취업자 수는 3만1000명 감소했다. 일자리 증가로 노동 수요가 폭증했는데 1월 평균 근로 시간은 주당 34.1시간으로 한 달 전보다 0.2시간 줄었다.
기간을 늘려도 상황은 비슷하다. 최근 1년간 신규 일자리는 290만 개 증가했다. 일자리가 늘어나면 취업자와 취업희망자가 증가해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이 상승한다. 그러나 1월 실업률은 3.7%로 되레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경제활동참가율도 62.5%로 62.4%인 1년 전과 거의 차이가 없다.
WSJ는 고용보고서의 조사 방법 때문에 이런 불일치 현상이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고용보고서는 기업조사와 가계조사로 나뉘는데 기업조사에 비해 가계조사에서 고용 증가세가 훨씬 보수적으로 잡힌다는 설명이다. 신규 일자리 수는 기업조사를 통해 산출되며 취업자 수,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은 가계조사로 집계된다. 이민자 통계도 괴리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꼽혔다. 미 노동부가 고용보고서를 작성할 때 참고하는 인구조사국 통계(센서스)는 미 의회예산국이 집계하는 통계 수치보다 적다.
WSJ는 “통계 불일치에 대해 일부 설명은 가능하지만 노동시장이 과열 없이 얼마나 빨리 진전되는지에 대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며 “이런 불확실성은 Fed가 선뜻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