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과 기술이 뭉친다"…최근 바이오 M&A 트렌드 [이해진의 글로벌바이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
국내 바이오 산업은 과도기
美, 빅파마가 소형 바이오 업체 인수
韓, 돈많은 기업이 바이오텍 M&A
국내 바이오 산업은 과도기
美, 빅파마가 소형 바이오 업체 인수
韓, 돈많은 기업이 바이오텍 M&A
국내 대기업들의 제약·바이오 업계 진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OCI그룹이 한미약품그룹과 통합을 시도하는가 하면, 오리온이 ADC(항체약물결합체) 개발 전문기업 레고켐바이오를 인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풍부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새로운 성장 분야 진출에 목말라 있는 대기업이 제약·바이오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는 게 공통점입니다.
국내 주요 그룹들의 제약업계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한화, CJ, 아모레퍼시픽 등 대부분의 그룹들은 제약 사업에 손을 댓다가 결국 별다른 소득을 올리지 못하고 접었던 뼈아픈 상처가 있습니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금을 투여해 약물을 발굴하고 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 과정을 거쳐, 규제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이 과정도 만만치 않지만 신약 승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상업화라는 또 다른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하지 않았던 2015년 이전은 제약 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는 대규모 자금이 투여되고, 항암제 같은 경우 성공 확률이 10%도 안 될 정도로 낮아 실패에 대한 위험을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신약 개발과 관련한 임상 지식이나 경험이 많지 않았고, 실패를 포용할 수 있는 그룹의 리더쉽 부족도 제약 산업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못했던 요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습니다. 2010~2012년 사이 발명된 'CRISPR-Cas9' 기반 유전자가위나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같은 혁신적인 바이오 기반 기술에 힘입어, 2017년 이후 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CGT(유전자세포치료제)와 융합 항체 치료제 분야는 놀라운 속도로 임상 파이프라인(신약개발 프로젝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미래 핵심성장 산업인 바이오 기술 및 제조에서 주도권을 유지하거나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결정입니다. 이제 바이오 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토론은 더 이상 의미 없습니다. 언제 어떻게 바이오 기술을 확보할 것이냐는 과제만 남아있을 뿐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 소위 빅파마로 불리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간 평균 매출액 560억달러(약 72조원), 영업이익 150억달러(약 19조원), 연간 R&D(연구개발)투자 104억달러(약 13조원) 규모를 자랑하는 이들 빅파마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 기술을 시장에 제시하면서 글로벌 기술력을 갖춘 소형 바이오 기업을 적극적으로 통합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채워 줄 수 있는 혁신적인 기업의 기술과 임상 파이프라인을 도입하거나 인수해 내재화하는 것이 그들의 일반적인 성장 전략입니다. 이처럼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금력을 갖춘 빅파마가 주도해 가고 있습니다. 다른 산업을 영위하는 대기업이 제약·바이오 산업에 진출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성장을 위한 과도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바이오 기술과 경험이 축적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고금리로 인해 자금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이, 레고켐바이오가 통합이나 피인수를 선택하는 이유는 각기 다르지만 결국은 자금 부족이라는 공통점이 있고, 그 반대편 상대자는 생소한 바이오 산업으로의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인수자와 피인수자가 협업하는 즉, 자금을 가진 자와 제약·바이오의 경험을 갖춘 경영자가 분리되는 과도기적 형태입니다. 결국 국내에도 시가총액 20조~50조원 규모의 신약 개발 빅바이오텍이 나타나 막대한 자금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흡수해 회사 내로 통합해 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한동안은 자금과 경영의 조화로운 협업이 필요합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이해진 임플바이오리서치 대표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국내 주요 그룹들의 제약업계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한화, CJ, 아모레퍼시픽 등 대부분의 그룹들은 제약 사업에 손을 댓다가 결국 별다른 소득을 올리지 못하고 접었던 뼈아픈 상처가 있습니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금을 투여해 약물을 발굴하고 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 과정을 거쳐, 규제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이 과정도 만만치 않지만 신약 승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상업화라는 또 다른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하지 않았던 2015년 이전은 제약 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는 대규모 자금이 투여되고, 항암제 같은 경우 성공 확률이 10%도 안 될 정도로 낮아 실패에 대한 위험을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신약 개발과 관련한 임상 지식이나 경험이 많지 않았고, 실패를 포용할 수 있는 그룹의 리더쉽 부족도 제약 산업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못했던 요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습니다. 2010~2012년 사이 발명된 'CRISPR-Cas9' 기반 유전자가위나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같은 혁신적인 바이오 기반 기술에 힘입어, 2017년 이후 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CGT(유전자세포치료제)와 융합 항체 치료제 분야는 놀라운 속도로 임상 파이프라인(신약개발 프로젝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는 미국
미국은 혁신적인 바이오 기반 기술에 근간을 둔 바이오 제조 산업이 글로벌 전체 제조 산업에 영향을 미치며 약 30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론칭을 위한 행정 명령을 내렸습니다.이는 미래 핵심성장 산업인 바이오 기술 및 제조에서 주도권을 유지하거나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결정입니다. 이제 바이오 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토론은 더 이상 의미 없습니다. 언제 어떻게 바이오 기술을 확보할 것이냐는 과제만 남아있을 뿐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 소위 빅파마로 불리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간 평균 매출액 560억달러(약 72조원), 영업이익 150억달러(약 19조원), 연간 R&D(연구개발)투자 104억달러(약 13조원) 규모를 자랑하는 이들 빅파마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 기술을 시장에 제시하면서 글로벌 기술력을 갖춘 소형 바이오 기업을 적극적으로 통합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채워 줄 수 있는 혁신적인 기업의 기술과 임상 파이프라인을 도입하거나 인수해 내재화하는 것이 그들의 일반적인 성장 전략입니다. 이처럼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금력을 갖춘 빅파마가 주도해 가고 있습니다. 다른 산업을 영위하는 대기업이 제약·바이오 산업에 진출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 점유율 고작 1%
우리나라 산업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조선이 36%, 반도체 18%, 자동차 6%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바이오는 1%에 그치고 있습니다. 미국의 전망대로 바이오 제조 산업이 전체 제조 산업의 3분의 1에 영향을 미친다면 우리나라 미래 제조 산업은 큰 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이오 산업에 보다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이유입니다.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성장을 위한 과도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바이오 기술과 경험이 축적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고금리로 인해 자금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이, 레고켐바이오가 통합이나 피인수를 선택하는 이유는 각기 다르지만 결국은 자금 부족이라는 공통점이 있고, 그 반대편 상대자는 생소한 바이오 산업으로의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인수자와 피인수자가 협업하는 즉, 자금을 가진 자와 제약·바이오의 경험을 갖춘 경영자가 분리되는 과도기적 형태입니다. 결국 국내에도 시가총액 20조~50조원 규모의 신약 개발 빅바이오텍이 나타나 막대한 자금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흡수해 회사 내로 통합해 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한동안은 자금과 경영의 조화로운 협업이 필요합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이해진 임플바이오리서치 대표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