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메타버스 시장 찾겠다"…LGU+, 유치원·어린이집 공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달 유치원용 '픽키즈' 출시
가상공간서 내 아이 활동 확인
"태권도장·미술학원으로 확대"
가상공간서 내 아이 활동 확인
"태권도장·미술학원으로 확대"
LG유플러스가 다음달 어린이집·유치원 원아의 일상과 창작 활동을 가상 공간에서 살펴볼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내놓기로 했다. 범용 플랫폼을 만드는 대신 소비자 유인이 강력한 분야만 골라 메타버스의 사업성을 입증하겠다는 전략이다.
김민구 LG유플러스 웹3사업개발랩 담당은 8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르면 다음달 말 어린이집·유치원 메타버스 플랫폼인 ‘픽키즈’(사진)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픽키즈는 LG유플러스가 2022년 5월부터 준비해온 서비스다. 어린이집·유치원 선생님이 아동의 활동 사진이나 영상을 모바일 앱으로 올리면 이 서비스가 자동으로 자료를 메타버스 전시관 형태로 구현하는 게 핵심이다. 원아 가족과 지인은 메타버스 캐릭터가 돼 전시관을 누비며 다른 원아들의 콘텐츠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방명록도 남길 수 있다.
픽키즈의 강점은 확실한 수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2월 서울 강서구 내 유치원에서 비공개 시험을 하며 이 플랫폼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들 유치원 원아 가정의 픽키즈 이용률이 90%를 넘겼다는 게 이 통신사의 설명이다. 자녀의 활동을 직접 보기 어려운 맞벌이 부모, 조카의 재롱을 보려는 30대 고모, 해외에 거주하는 친척 등이 픽키즈의 애용자가 됐다.
이용자 수요를 확보한 뒤엔 굿즈를 제공하는 사업모델도 고려하고 있다. 원아 가족이 아이돌 굿즈를 만들듯 ‘자녀만의 굿즈’를 주문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고려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사진을 영상화하는 기능도 도입하기로 했다. 그림 속 사물을 애니메이션처럼 움직이도록 연출해 메타버스가 줄 수 있는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장기적으론 예체능 교육 시장을 노린다. 태권도장, 미술학원 등으로도 픽키즈 공급 범위를 늘리는 게 LG유플러스의 목표다. 해외 아동교육 시설에도 픽키즈 수요가 있을 것이란 게 이 통신사의 판단이다.
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 3종도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어린이 전용 키즈토피아는 올 3분기 대만, 일본 진출을 노린다. LG유플러스는 키즈토피아에 접속한 어린이들이 AI 캐릭터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메타버스와 AI를 동시에 활용해 체험형 교육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공급하겠다는 전략이다.
대학 전용 플랫폼인 유버스도 고객층이 두터워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엔 한국외국어대와 손잡고 직무박람회를 개최했다. 기업용 플랫폼인 메타슬랩은 비대면 행사용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내 커뮤니케이션 용도로 이 플랫폼을 쓰는 고객사도 있다. 메타버스 캐릭터로 임직원들이 미팅하면 수평적 소통이 강화된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픽키즈의 강점은 확실한 수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2월 서울 강서구 내 유치원에서 비공개 시험을 하며 이 플랫폼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들 유치원 원아 가정의 픽키즈 이용률이 90%를 넘겼다는 게 이 통신사의 설명이다. 자녀의 활동을 직접 보기 어려운 맞벌이 부모, 조카의 재롱을 보려는 30대 고모, 해외에 거주하는 친척 등이 픽키즈의 애용자가 됐다.
이용자 수요를 확보한 뒤엔 굿즈를 제공하는 사업모델도 고려하고 있다. 원아 가족이 아이돌 굿즈를 만들듯 ‘자녀만의 굿즈’를 주문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고려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사진을 영상화하는 기능도 도입하기로 했다. 그림 속 사물을 애니메이션처럼 움직이도록 연출해 메타버스가 줄 수 있는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장기적으론 예체능 교육 시장을 노린다. 태권도장, 미술학원 등으로도 픽키즈 공급 범위를 늘리는 게 LG유플러스의 목표다. 해외 아동교육 시설에도 픽키즈 수요가 있을 것이란 게 이 통신사의 판단이다.
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 3종도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어린이 전용 키즈토피아는 올 3분기 대만, 일본 진출을 노린다. LG유플러스는 키즈토피아에 접속한 어린이들이 AI 캐릭터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메타버스와 AI를 동시에 활용해 체험형 교육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공급하겠다는 전략이다.
대학 전용 플랫폼인 유버스도 고객층이 두터워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엔 한국외국어대와 손잡고 직무박람회를 개최했다. 기업용 플랫폼인 메타슬랩은 비대면 행사용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내 커뮤니케이션 용도로 이 플랫폼을 쓰는 고객사도 있다. 메타버스 캐릭터로 임직원들이 미팅하면 수평적 소통이 강화된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