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는 지난해 전국 최다인 야생동물 3천34마리를 구조해 이 중 건강을 회복한 1천5마리를 자연으로 돌려보냈다고 12일 밝혔다.

경기도, 지난해 야생동물 3천34마리 구조…전국 최다
적극적 치료를 할 수 없었던 폐사체와 센터 도착 즉시 폐사한 564마리를 제외하면 실질 방생률은 41%에 달한다.

구조된 야생동물은 조류가 2천140마리(70%)로 가장 많았고 포유류 875마리(29%), 파충류 19마리(1%) 등이다.

이 중 저어새, 두루미, 하늘다람쥐 등 천연기념물은 19종 377마리, 멸종위기종은 20종 130마리였다.

구조 원인으로는 어미를 잃은 어린 동물이 1천13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기는 여름철 번식기에 집중됐다.

대부분 어린 새는 둥지를 떠나 야생에서 살아가는 기술을 배우는 '이소' 단계에 발견된 경우로 이때 사람에게 길러지면 자연으로 복귀해도 야생성을 잃게 돼 생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날지 못하는 어린 새를 발견하면 바로 구조하는 것보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연락해 구조가 필요한 상황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병호 경기도 동물복지과장은 "적극적인 구조 신고에 힘입어 도움이 필요한 야생동물들이 새 삶을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신속하고 적극적인 구조와 전문적 치료를 통해 자연이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