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돈 주고 산다고?" 역발상 통했다…'300억' 잭팟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가방에서 옷
‘역발상’으로 MZ 큰손 사로잡은 '드파운드'
‘역발상’으로 MZ 큰손 사로잡은 '드파운드'

요즘 트렌드의 최정점에 있는 브랜드들이 한데 모였다는 여의도 더현대서울 지하2층 브랜드들 중에서도 '드파운드'의 인기는 손에 꼽는다. 지난해에만 매출이 120% 늘며 단숨에 '300억원대 브랜드'로 발돋움했다. 올해는 500억원이 목표다. 드파운드가 무섭게 성장할 수 있었던 '역발상'이었다고 창립자인 정은정·조현수 공동대표는 설명했다.
◆'패션 덕후' 두 명이 뭉쳤다

두 대표의 첫 작품은 옷이 아닌 에코백과 달력이었다. 옷을 파는 브랜드는 워낙 많았던 만큼 차별화를 노리기 위함이었다. 조 대표는 "'남들은 안하는 것'을 고민하다보니 '사람들이 돈 주고 사기 아까워하는 걸 사게끔 하자'는 생각이 들었다"며 "에코백과 달력 모두 사은품으로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걸 예쁘게 만들어서 팔아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에코백 만들다 옷까지 확장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유통망을 넓혀간 것도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점이다. 조 대표는 "브랜드가 점차 알려지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한 외국인 관광객이 우리 가방을 사고 싶다며 사무실로 찾아오기까지 했는데, 직접 물건을 보고 바로 살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을 내야겠다고 결심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신생 온라인 브랜드가 백화점에 진출할 수 있었던 건 2022년 11월 이뤄진 브랜드 인큐베이터 '하고하우스'의 투자 덕분이다. '마뗑킴'을 비롯한 MZ 브랜드를 전국구로 키워낸 노하우가 바탕이 됐다. 정 대표는 "하고하우스를 통해 백화점 비즈니스 전반을 지원받았고, 빠르게 백화점에 단독 매장을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올해도 수도권 및 지방 백화점, 그리고 면세점 등을 중심으로 11개 오프라인 매장을 추가 출점할 계획이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