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강제노동 동원 의혹"…VW 차량 수천대 美항구에 발묶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우디·포르쉐·벤틀리 수천 대 하역 중단
부품 교체…3월 말까지 인도 늦어질 듯
폭스바겐 "몰랐다…확인 즉시 美에 통보"
부품 교체…3월 말까지 인도 늦어질 듯
폭스바겐 "몰랐다…확인 즉시 美에 통보"
독일 폭스바겐 차량 수천 대가 미국에서 하역이 중단된 상태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차량에 강제노동법 위반 가능성이 있는 중국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이 포함됐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조치로 아우디 수천 대, 포르쉐 약 1000대, 벤틀리 수백 대가 항구에서 발이 묶이게 됐다.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 2명은 FT에 “해당 차량에 사용된 중국 서부산(産) 전자 부품을 교체해야 한다”며 “최종 인도 시점은 최장 3월 말까지 늦춰질 수 있다”고 전했다. 부품 교체 작업은 미 세관 당국의 승인을 거쳐 지난주부터 이미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위구르강제노동방지법’(UFLPA)에 따라 신장 서부 지역을 포함해 중국에서 강제노동을 동원해 생산된 제품에 대한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UFLPA는 2021년 미 의회 의결을 거쳐 2022년 6월부터 본격 시행됐다. 앞서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알루미늄을 구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폭스바겐은 해당 사실을 “몰랐다”는 입장이다. 해당 부품이 최하위 단계 공급업체로부터 조달돼 미처 확인 절차를 거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FT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대형 납품사와 소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 낮은 단계의 공급망에서 어떤 부품이 쓰이는지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폭스바겐은 부품의 출처가 확인된 즉시 미 정부에 통보했다. 이 회사는 성명을 내고 “강제노동을 포함해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 침해 관련 혐의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하청업체 중 한 곳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 즉시 조사에 나섰으며, 사실관계가 파악되는 대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를 통해 강제노동방지법 위반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되면 해당 업체와의 계약을 종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폭스바겐은 중국 합작사인 상하이자동차(SAIC)와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해 미래 사업 방향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관련 업계에선 폭스바겐이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다만 두 회사 간 계약의 만료 시점이 2029년이어서 당장의 결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같은 날 독일 언론 한델스블라트가 중국 신장 지역 인권 문제 전문가인 학자 아드리안 젠츠의 연구를 인용해 2019년 폭스바겐 공장 건설 현장에서 강제노동이 자행됐다고 보도한 데 따른 반응이었다. 당시 자동차 운항 시험 트랙 건설 과정을 담은 사진에 군복을 입은 위구르 노동자들이 찍혔다는 것이다. 트랙 건설을 담당한 국영 기업에 따르면 일부 노동자들은 “사상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자신의 홍채를 스캔한 결과를 경찰에 보내기도 했다. 폭스바겐은 2013년 SAIC와의 합작을 통해 신장위구르 지역 자치구인 우루무치에 조립 공장을 세운 이후 인권 탄압 의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이 회사는 미·중 관계가 1979년 수교 이래 최악으로 치달은 시점에서 정치적 압박을 받아 왔다. 지수 산출업체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폭스바겐의 강제노동 연루 의혹에 대해 외부 감사가 이뤄지자 이 회사에 ‘레드플래그’(red flag) 등급을 부여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적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논란이 제기됐다는 의미다. 이후 다수의 글로벌 투자사들이 포트폴리오에서 폭스바겐을 뺐다.
폭스바겐은 당분간 미·중 사이에서 험난한 ‘줄타기’를 지속할 전망이다. 이 회사는 1970년대 후반 중국에 진출한 최초의 서방 기업 중 하나였고, 현재 전체 수익의 절반이 중국에서 나온다. 전기차 전환 시대 점유율 하락 압박이 가중되자 중국에 50억유로(약 7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도 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이번 조치로 아우디 수천 대, 포르쉐 약 1000대, 벤틀리 수백 대가 항구에서 발이 묶이게 됐다.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 2명은 FT에 “해당 차량에 사용된 중국 서부산(産) 전자 부품을 교체해야 한다”며 “최종 인도 시점은 최장 3월 말까지 늦춰질 수 있다”고 전했다. 부품 교체 작업은 미 세관 당국의 승인을 거쳐 지난주부터 이미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위구르강제노동방지법’(UFLPA)에 따라 신장 서부 지역을 포함해 중국에서 강제노동을 동원해 생산된 제품에 대한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UFLPA는 2021년 미 의회 의결을 거쳐 2022년 6월부터 본격 시행됐다. 앞서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알루미늄을 구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폭스바겐은 해당 사실을 “몰랐다”는 입장이다. 해당 부품이 최하위 단계 공급업체로부터 조달돼 미처 확인 절차를 거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FT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대형 납품사와 소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 낮은 단계의 공급망에서 어떤 부품이 쓰이는지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폭스바겐은 부품의 출처가 확인된 즉시 미 정부에 통보했다. 이 회사는 성명을 내고 “강제노동을 포함해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 침해 관련 혐의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하청업체 중 한 곳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 즉시 조사에 나섰으며, 사실관계가 파악되는 대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를 통해 강제노동방지법 위반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되면 해당 업체와의 계약을 종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폭스바겐은 중국 합작사인 상하이자동차(SAIC)와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해 미래 사업 방향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관련 업계에선 폭스바겐이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다만 두 회사 간 계약의 만료 시점이 2029년이어서 당장의 결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같은 날 독일 언론 한델스블라트가 중국 신장 지역 인권 문제 전문가인 학자 아드리안 젠츠의 연구를 인용해 2019년 폭스바겐 공장 건설 현장에서 강제노동이 자행됐다고 보도한 데 따른 반응이었다. 당시 자동차 운항 시험 트랙 건설 과정을 담은 사진에 군복을 입은 위구르 노동자들이 찍혔다는 것이다. 트랙 건설을 담당한 국영 기업에 따르면 일부 노동자들은 “사상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자신의 홍채를 스캔한 결과를 경찰에 보내기도 했다. 폭스바겐은 2013년 SAIC와의 합작을 통해 신장위구르 지역 자치구인 우루무치에 조립 공장을 세운 이후 인권 탄압 의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이 회사는 미·중 관계가 1979년 수교 이래 최악으로 치달은 시점에서 정치적 압박을 받아 왔다. 지수 산출업체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폭스바겐의 강제노동 연루 의혹에 대해 외부 감사가 이뤄지자 이 회사에 ‘레드플래그’(red flag) 등급을 부여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적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논란이 제기됐다는 의미다. 이후 다수의 글로벌 투자사들이 포트폴리오에서 폭스바겐을 뺐다.
폭스바겐은 당분간 미·중 사이에서 험난한 ‘줄타기’를 지속할 전망이다. 이 회사는 1970년대 후반 중국에 진출한 최초의 서방 기업 중 하나였고, 현재 전체 수익의 절반이 중국에서 나온다. 전기차 전환 시대 점유율 하락 압박이 가중되자 중국에 50억유로(약 7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도 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