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명 LG엔솔 사장 "여러 고객사와 '4680 배터리' 공급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게임 체인저’로 통하는 4680(지름 46mm·높이 80mm) 원통형 배터리를 다양한 고객사와 납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르면 8월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4680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15일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이사회·총회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4680 배터리는 기존 2170 원통형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5배 높고, 출력이 6배 개선됐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20% 늘릴 수 있는 제품이다. 공정 횟수가 적어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도 월등하다. 글로벌 경기 둔화가 길어지며 전기차 시장이 ‘가격 싸움’으로 번지자 더 주목받는 배터리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당초 올 하반기부터 4680 배터리를 양산하겠다고 했었다. 이르면 8월이라는 구체적인 시점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테슬라 이외에도) 많이 공급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난징공장에서도 4680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 있냐고 묻자 “우선 한국에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고, 여러 방법을 생각 중”이라고 답했다. 또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 시점은 내년 하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대자동차와의 인도네시아 합작공장은 4월 가동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제너럴모터스(GM)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AMPC(첨단제조 세액공제) 공유 방법을 논의 중이라고도 했다. AMPC는 미국 정부가 현지 배터리 생산분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GM이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공장 지분율(각각 50%)보다 많은 비율을 공유해달라고 요청하며 논란이 일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총 2조원의 AMPC를 수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가운데 얼마나 GM에 배당해야 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 사장은 “시기를 특정지을 순 없지만 계속 논의 중”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 7일엔 메리 바라 GM 회장과 만났다. 김 사장은 “GM과 테네시주에서 두 번째 합작공장을 곧 가동하는데, 이런 협력을 잘해나가자는 이야기를 했다”며 “이외 자세한 내용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중국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데 대해선 “기본적인 제품 경쟁력, 외부 환경에도 흔들리지 않는 원가 경쟁력, 미래 기술 경쟁력 등에 집중하겠다”고 답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김 사장은 15일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이사회·총회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4680 배터리는 기존 2170 원통형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5배 높고, 출력이 6배 개선됐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20% 늘릴 수 있는 제품이다. 공정 횟수가 적어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도 월등하다. 글로벌 경기 둔화가 길어지며 전기차 시장이 ‘가격 싸움’으로 번지자 더 주목받는 배터리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당초 올 하반기부터 4680 배터리를 양산하겠다고 했었다. 이르면 8월이라는 구체적인 시점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테슬라 이외에도) 많이 공급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난징공장에서도 4680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 있냐고 묻자 “우선 한국에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고, 여러 방법을 생각 중”이라고 답했다. 또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 시점은 내년 하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대자동차와의 인도네시아 합작공장은 4월 가동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제너럴모터스(GM)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AMPC(첨단제조 세액공제) 공유 방법을 논의 중이라고도 했다. AMPC는 미국 정부가 현지 배터리 생산분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GM이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공장 지분율(각각 50%)보다 많은 비율을 공유해달라고 요청하며 논란이 일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총 2조원의 AMPC를 수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가운데 얼마나 GM에 배당해야 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 사장은 “시기를 특정지을 순 없지만 계속 논의 중”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 7일엔 메리 바라 GM 회장과 만났다. 김 사장은 “GM과 테네시주에서 두 번째 합작공장을 곧 가동하는데, 이런 협력을 잘해나가자는 이야기를 했다”며 “이외 자세한 내용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중국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데 대해선 “기본적인 제품 경쟁력, 외부 환경에도 흔들리지 않는 원가 경쟁력, 미래 기술 경쟁력 등에 집중하겠다”고 답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