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관련 간담회가 15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렸다. 정상혁 신한은행장(왼쪽부터),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재근 국민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김범준 기자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 관련 간담회가 15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렸다. 정상혁 신한은행장(왼쪽부터),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재근 국민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김범준 기자
국내 5대 시중은행과 정부가 5조원 규모의 중견기업 신산업 진출 펀드를 조성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 관련 대규모 투자에는 미래 현금흐름을 담보로 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기법을 도입한다.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장과 산업은행 회장, 기업은행장이 참석한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전날 여당과 정부가 내놓은 76조원 규모 기업 지원 방안의 후속이다.

정부와 은행권은 경제주체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을 위해 15조원 규모의 집중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5대 은행은 총 2조5000억원을 투입해 한국성장금융과 함께 5조원 규모의 중견기업전용펀드를 조성한다. 신산업에 진출하는 중견기업의 사업 재편이나 인수합병(M&A)에 투자하는 펀드다. 금융위 관계자는 “민간 운용사에 운용을 맡겨 정부 개입 없이 시장원리에 따라 투자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대 은행과 산업은행은 6조원 규모의 중견기업 전용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시스템반도체, 경량화 소재, 스마트팩토리 등 신성장 분야 중견기업의 설비투자, 연구개발(R&D) 등을 돕기 위해서다. 업체당 최대 1500억원까지 시장금리보다 1%포인트 낮은 금리로 대출해 준다.

중견기업은 3년 평균 매출이 400억~1500억원(업종별 기준)으로 국내 고용의 12.9%, 수출의 18.2%를 차지하지만 각종 정책 지원에선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는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전략산업 부문 기업이 글로벌 경쟁우위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수십조원에 달하는 신공장 투자에 기업과 금융회사가 위험을 분담하는 PF 방식을 도입한다.

새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면 기업이 신공장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정책금융기관과 민간 금융사들이 대주단을 구성해 SPC에 대출해주는 식이다. 대주단은 SPC가 해당 기업에 반도체를 공급하면서 받을 예상 수입으로 자금을 회수한다. 금융위는 “기업 요청에 따라 PF 방식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은행은 전략산업 기업들에 대출금리를 최대 1.2%포인트 인하해 15조원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은 수입처 다변화와 대체기술 개발에 나선 기업들에 공급망안정기금 5조원을 투입한다. 매출이 감소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는 기업은행과 5대 은행이 금리인하 특별프로그램을 통해 1년간 금리를 최대 2%포인트 한도 내에서 연 5%까지 감면한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