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반유대주의와 표현의 자유
예술 표현의 자유에 한계는 없는가. 아니면 사회적 관습과 윤리의 문제 등을 고려해 제한을 둬야 하는가. 이 같은 예술 표현의 자유에 관한 논의는 역사적으로 반복된 주제다. 오늘날 많은 예술사업이 공공 재원과 지원금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공공성과 표현의 자유 보장 문제는 서로 대치되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자유와 다양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독일 베를린에서도 최근 예술 표현의 자유와 공적 재원 지원 조건을 둘러싸고 커다란 갈등이 있었다.

베를린 미술계에서 현재 주로 다뤄지는 주제는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LGBTQ) 및 백인 이외 인종(BIPOC)의 동등한 권리 등 과거 배제한 존재들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예술의 정치적 발언 및 표현이 비교적 자유로운 베를린에서도 금기시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바로 반(反)유대주의다.

과거를 반성하고 주의하려는 태도는 때로는 과도한 조치로 이어져 반유대주의뿐 아니라 이스라엘 관련 이슈에 대한 모든 코멘트와 표현을 제한하는 입장을 취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례로 2022년 인도네시아 출신 컬렉티브 루앙루파가 기획한 도큐멘타에서 유대인에 대한 편견을 묘사한 타링 파디의 그림이 전시 시작 3일 후 철거되고, 그 여파로 계획된 포럼 등 이벤트가 연달아 취소된 일은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23년 10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시작된 이후 이런 경향은 더욱 심해졌다. 베를린의 문화기관 ‘오유언’은 2025년까지 받기로 한 공적 지원이 중단되는 일을 겪었다. ‘중동 평화를 위한 유대인의 목소리’란 단체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논하기 위해 기획한 ‘애도와 희망’이란 이벤트 개최를 취소하라는 베를린 상원의 요청에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에 관한 그 어떤 발언도 용납되지 않는 듯한 분위기 속에서 독일 예술원의 디렉터 야닌 메어아펠은 ‘예술적 자유의 옹호’라는 공개 항의서를 2023년 12월 발표했다. 예술의 자유에 대한 책임은 예술에 있으며, 성별·혈통·인종·언어·출신 국가 및 종교적·정치적 발언으로 인해 특혜나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하기에 누구나 의견을 피력할 자유 권리가 있다는 것이 항의서 내용의 핵심이다.

그러나 상황이 나아지는 대신 지난 1월 4일 요 치알로 베를린 상원의원은 ‘인종차별적, 반유대주의적, 반동성애공포증적, 차별적 표현’은 공공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는 조항을 만들겠다고 했다. 이에 4100명 이상의 베를린 예술가 및 문화 종사자가 공개 항의서를 발표했다. 항의서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은 국제 홀로코스트 추모 협회가 새로 정의한 반유대주의 개념에 따라야 하는 것은 부당하고, 정당한 비판마저 막는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격렬한 항의에 치알로 의원은 1월 22일 해당 조항을 취소한다고 발표했고 일단 갈등은 급하게 봉합된 모양새다.

반유대주의는 반드시 사라져야 할 차별이다. 그러나 반유대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또 다른 민족을 차별하거나 이스라엘에 대한 그 어떤 의견과 주장을 금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이를 이용해 공적 재원 지원 여부를 통제하며 예술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일은 사라져야 할 것이다.

예술가는 어떤 정치적 입장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더라도 그의 생각과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예술적 표현의 자유 및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만약 예술을 특정한 이데올로기의 선전과 선동 도구로 이용한다면 이는 예술 시스템 내에서 비판받고 자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