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농장이 '지식의 보고'로…싱가포르가 공공도서관 건설에 진심인 이유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도시는 문화전쟁 중]②도시운명 바꾼 문화예술의 힘
싱가포르 공공도서관 혁신 계획 'LAB 25'
2025년까지 '전 국민 도서관 생활권' 목표
도시 중심부 도서관 시설 개선부터
풍골지역도서관 등 외곽 지역도서관 확충까지
코로나 전보다 도서관 이용률 증가하고
'교육과 커뮤니티' 거점으로 자리매김
싱가포르 공공도서관 혁신 계획 'LAB 25'
2025년까지 '전 국민 도서관 생활권' 목표
도시 중심부 도서관 시설 개선부터
풍골지역도서관 등 외곽 지역도서관 확충까지
코로나 전보다 도서관 이용률 증가하고
'교육과 커뮤니티' 거점으로 자리매김
![지난해 4월 개관한 풍골지역도서관 입구 전경. /NLB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81586.1.jpg)
싱가포르 북동부 풍골에서 나고 자란 크자이아 청(58) 씨는 자기 고향을 두고 격세지감을 느낀다고 했다. 지난해 4월 개관한 풍골지역도서관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그는 “예전엔 농가를 관리하는 어른들이 마을의 대다수였다면, 최근에는 가족 단위 손님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젊은이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개관한 싱가포르 풍골지역도서관 내부 전경. /NLB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81605.1.jpg)
풍골지역 도서관은 이러한 ‘전 국민 도서관 생활권’ 계획의 마지막 퍼즐이다. 주롱, 템피니스, 우드랜드 등 기존 지역거점 도서관 세 곳에 이어 북동부의 시민 수요를 흡수하면서다. 역대 싱가포르 공공도서관 중 최대 크기인 1만2180㎡ 규모로 조성됐다. 지역거점 도서관은 면적 규모가 1만㎡ 이상의 대규모 도서관들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주 7일 오전 10시부터 저녁 9시까지 운영된다.
![싱가포르 국립도서관위원회(NLB) 건물 전경. 지하 1층 센트럴공공도서관이 지난 1월 리모델링을 마치고 재개관했다. /NLB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81597.1.jpg)
싱가포르 국민들의 도서관 이용률도 높아지는 추세다. NLB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싱가포르 거주자 78%가 NLB 관할 도서관을 방문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2년(61.7%)뿐 아니라, 팬데믹 발생 이전인 2019년(72%)보다도 늘어난 수치다. 2021년 진행된 설문 조사에서 ‘책을 많이 읽는다’고 자평한 응답자 비중도 70% 이상을 차지했다.
![싱가포르 시민들이 센트럴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다. /NLB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81609.1.jpg)
![싱가포르 시민들이 풍골지역도서관 내 자료검색대를 이용하고 있다. /NLB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81658.1.jpg)
공공도서관과 국민독서에 관한 정책적 노력이 국민의 전반적인 지력 향상으로도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12월 발표된 ‘2022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조사에서 싱가포르가 읽기·수학·과학 전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만 15세 이상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3년마다 평가하는 척도다. 한국은 같은 기간 부문별로 2~12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