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다음 주 월요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상세한 추진 계획을 공개합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업 가치를 올릴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인데, 기업들은 총론에는 동의하지만 각론에서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적지 않다며 속앓이하고 있습니다.

정호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럴 바에는 상장 폐지가 낫겠다."

최근 일부 상장사들 사이에선 뼈 있는 농담이 오가고 있습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자본시장 체질 개선 정책을 그대로 이행하려면 적지 않은 부담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정부는 자본시장 체질개선을 위해 인프라와 외국인 투자자 환경 개선, 상장기업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세부적인 정책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앞선 일본의 사례와 같이 증시의 투자 매력도를 높이겠다는 건데, 정책을 이행해야 할 기업들은 피상적인 정책만으로는 '밸류업'이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자본재 산업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국내 산업 구조상 주주환원율이 낮을 수밖에 없고, 당장 환원보다 재투자가 시급한 기업도 다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상장 기업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할 경우 후유증이 더 클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정우용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부회장 :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 밸류업 프로그램은 결국은 거품밖에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업 가치라고 하는 것이 형식적이고 외적인 것만 만든다고 올라가는 게 아니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해서 되는 건데 (이를) 조금 간과하는 게 아닌가라고 생각합니다.]

상장기업들은 자본시장의 체질 개선이 지속가능하려면 정책을 이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유인책(Incentive)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규제 완화, 세제 혜택 등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확보되어야 상장기업이 안심하고 주주환원과 재투자 가운데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정우용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부회장 : 그렇게 해서 받은 이익, 수혜 등을 주주 환원을 위해서 또는 재투자에 쓸 수도 있는 것이죠. 체질 개선과 같이 봐야지, 주주 환원 쪽만 강조하다 보니까 체질 강화보다는 결국은 체질이 좀 약화되는 그런 결과를 좀 가져오지 않을까…]

상장기업들은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정책이 부족할 경우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

영상취재 : 양진성, 영상편집 : 이가인, CG : 이혜정


정호진기자 auva@wowtv.co.kr
"지속 가능한 주주환원 환경 필요"...숨죽인 상장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