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AI시대 고용·노동 변혁에 대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지형·고용시장 확 달라져
노동·교육개혁에 전력 다해야
이동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
노동·교육개혁에 전력 다해야
이동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
27년 만에 나온 비틀스의 신곡 ‘Now and Then’, 반 고흐가 그린 한강, 프레디 머큐리가 부른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11번(베토벤은 생전에 바이올린 소나타 10번까지만 남겼다). 농담 같지만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만든 실제 콘텐츠들이다. 인간과 AI를 구분하는 최후의 영역이라던 예술·창작 분야까지도 더는 AI 미답 지대가 아닌 걸 보니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생성형 AI가 모든 산업을 재창조할 것”이라고 한 말이 새삼 떠오른다.
AI라는 용어는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처음 구체화했다. 이후 70년간 빅데이터와 컴퓨터 기술 발달은 AI를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꿔놨다. 지금은 산업 현장과 교육·의료·통신·교통·금융은 물론 예술계까지 AI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다. 19세기의 전기, 20세기의 인터넷이 인류 역사를 바꿔 놓은 것처럼 21세기에는 AI가 그 역할을 맡을 것이다.
이 같은 AI발 혁명은 세계 산업 지형도를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AI 중심의 디지털 전환으로 생산방식을 혁신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지능화하며, 새로운 부가가치와 신산업을 창출하고 있다. 독일 지멘스는 제조공정 전반에 AI를 도입해 종전보다 생산량을 10배 이상 늘리고 불량률은 제로 수준으로 낮췄으며, 제품 출하에 걸리는 시간도 절반으로 줄였다. 또 운전자의 운행정보로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테슬라의 BBI(행동 기반 보험) 등 기존에 예상치 못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있다.
AI로 인한 변화는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필연적으로 승자와 패자를 낳았다. AI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AI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혜택을 누리지만, 다른 누군가는 자신의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27년까지 AI로 전 세계 일자리 6900만 개가 만들어지지만 사라지는 일자리가 83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도 사정이 비슷하다. 최근 한국은행은 전체 일자리의 12%인 341만 개가 AI로 대체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의사, 회계사, 변호사 등 고소득·고학력 전문직이 AI에 잠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글로벌 기업 임원의 75%가 ‘AI가 3년 이내에 조직 대전환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한 설문조사 결과(딜로이트)도 나왔다.
이처럼 AI발 노동 대전환이 코앞에 다가왔지만 우리는 아직 준비가 부족하다. 정규직 과보호, 획일적 근로시간 등 경직적 노동시장이 사양산업에서 성장산업으로의 빠른 인력 전환을 가로막고 있고, 낡은 교육 시스템으로는 AI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키워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AI 시대는 피할 수도 없고, 피해서도 안 된다. 이미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은 AI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에 사활을 건 경쟁을 하고 있다. 우리도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게 지금부터라도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에 전력해야 한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일자리를 만들고 옮기는 것을 수월하게 하고, 대학 교육체계와 입시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꿔 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더 많이 양성해야 한다. 국회는 각종 법·제도 개선 과정에서 정파와 진영을 넘어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기업도 교육훈련에 대한 집중 투자로 근로자가 AI를 관리·감독하고 통제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도와야 한다. 아울러 근로자도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갈등을 중재하는 소위 ‘일머리’를 단련하는 데 힘써야 한다.
AI라는 용어는 1956년 다트머스 회의에서 처음 구체화했다. 이후 70년간 빅데이터와 컴퓨터 기술 발달은 AI를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꿔놨다. 지금은 산업 현장과 교육·의료·통신·교통·금융은 물론 예술계까지 AI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다. 19세기의 전기, 20세기의 인터넷이 인류 역사를 바꿔 놓은 것처럼 21세기에는 AI가 그 역할을 맡을 것이다.
이 같은 AI발 혁명은 세계 산업 지형도를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AI 중심의 디지털 전환으로 생산방식을 혁신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지능화하며, 새로운 부가가치와 신산업을 창출하고 있다. 독일 지멘스는 제조공정 전반에 AI를 도입해 종전보다 생산량을 10배 이상 늘리고 불량률은 제로 수준으로 낮췄으며, 제품 출하에 걸리는 시간도 절반으로 줄였다. 또 운전자의 운행정보로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테슬라의 BBI(행동 기반 보험) 등 기존에 예상치 못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있다.
AI로 인한 변화는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필연적으로 승자와 패자를 낳았다. AI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AI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혜택을 누리지만, 다른 누군가는 자신의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27년까지 AI로 전 세계 일자리 6900만 개가 만들어지지만 사라지는 일자리가 83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도 사정이 비슷하다. 최근 한국은행은 전체 일자리의 12%인 341만 개가 AI로 대체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의사, 회계사, 변호사 등 고소득·고학력 전문직이 AI에 잠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글로벌 기업 임원의 75%가 ‘AI가 3년 이내에 조직 대전환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한 설문조사 결과(딜로이트)도 나왔다.
이처럼 AI발 노동 대전환이 코앞에 다가왔지만 우리는 아직 준비가 부족하다. 정규직 과보호, 획일적 근로시간 등 경직적 노동시장이 사양산업에서 성장산업으로의 빠른 인력 전환을 가로막고 있고, 낡은 교육 시스템으로는 AI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키워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AI 시대는 피할 수도 없고, 피해서도 안 된다. 이미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은 AI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에 사활을 건 경쟁을 하고 있다. 우리도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게 지금부터라도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에 전력해야 한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일자리를 만들고 옮기는 것을 수월하게 하고, 대학 교육체계와 입시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꿔 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더 많이 양성해야 한다. 국회는 각종 법·제도 개선 과정에서 정파와 진영을 넘어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기업도 교육훈련에 대한 집중 투자로 근로자가 AI를 관리·감독하고 통제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도와야 한다. 아울러 근로자도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갈등을 중재하는 소위 ‘일머리’를 단련하는 데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