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의사 쏠림 갈수록 심화…'바이오 핵심 인재' 의사과학자 태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대생 중 1%만 의사과학자 희망
대부분 소득 높은 임상의사 선택
"열악한 과학자 처우 개선해야"
대부분 소득 높은 임상의사 선택
"열악한 과학자 처우 개선해야"
의대 증원이 현실화하면서 단순한 숫자 늘리기가 아니라 의사과학자 양성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약·바이오 분야에 의사과학자 인력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국내에 의사과학자가 태부족이기 때문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의대 재학생 중 의사과학자 희망 비중은 1%에 못 미친다. 소득이 높은 임상의사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있지만 졸업 후에도 연구를 지속하는 경우는 10%에 그치는 실정이다.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의사과학자가 제약·바이오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 글로벌 상위 10개 제약사 최고과학책임자(CSO)의 70%가 의사과학자다. 창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로버트 랭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대표적인 사례다. 의사과학자인 그는 모더나를 비롯 40여 개 바이오기업을 설립해 ‘연쇄창업가’로 불린다. 그는 재산이 약 5조8000억원으로 2021년 포브스 선정 400대 부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의사과학자의 연구가 ‘창업→사업화→의료현장’으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가 있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의사과학자 양성에 적극적이다. 전체 의대생의 3.7%가 의사과학자의 길로 들어서는 미국의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은 학위과정만이 아니라 전 주기적 지원을 제공한다. 학위를 받는 동안 연간 2000만원 이상씩 장학금을 주고 전공의·교수가 된 뒤 연구비도 지원한다.
영국은 의사과학자의 충분한 연구시간을 확보하는 데 특화돼 있다. 국립보건연구원(NIHR)의 ‘의학 임상 렉처십(CL)’ 프로그램은 임상의가 연중 절반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최대 4년간 지원한다.
국내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다섯 배가 넘는 의사와 과학자 간 연봉 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소 25곳의 초임 평균연봉은 지난해 기준 4313만원이다. 반면 전문의 평균 연봉은 2억3690만원이다. 의사로선 선뜻 연구자의 길을 택하기가 어렵고, 연구소와 기업도 의사를 채용하기 부담스러운 요인이 된다.
임상의는 당장 한 명의 환자를 살리지만 의사과학자는 미래 1만 명의 환자를 구할 수 있다. 제임스 윌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는 “한국도 의사와 과학자 간 경계를 허물 필요가 있다”며 “국제무대 경쟁력을 갖추는 세기의 과학자를 배출하려면 의사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
20일 업계에 따르면 의대 재학생 중 의사과학자 희망 비중은 1%에 못 미친다. 소득이 높은 임상의사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있지만 졸업 후에도 연구를 지속하는 경우는 10%에 그치는 실정이다.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의사과학자가 제약·바이오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 글로벌 상위 10개 제약사 최고과학책임자(CSO)의 70%가 의사과학자다. 창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로버트 랭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대표적인 사례다. 의사과학자인 그는 모더나를 비롯 40여 개 바이오기업을 설립해 ‘연쇄창업가’로 불린다. 그는 재산이 약 5조8000억원으로 2021년 포브스 선정 400대 부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의사과학자의 연구가 ‘창업→사업화→의료현장’으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가 있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의사과학자 양성에 적극적이다. 전체 의대생의 3.7%가 의사과학자의 길로 들어서는 미국의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MSTP)은 학위과정만이 아니라 전 주기적 지원을 제공한다. 학위를 받는 동안 연간 2000만원 이상씩 장학금을 주고 전공의·교수가 된 뒤 연구비도 지원한다.
영국은 의사과학자의 충분한 연구시간을 확보하는 데 특화돼 있다. 국립보건연구원(NIHR)의 ‘의학 임상 렉처십(CL)’ 프로그램은 임상의가 연중 절반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최대 4년간 지원한다.
국내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다섯 배가 넘는 의사와 과학자 간 연봉 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소 25곳의 초임 평균연봉은 지난해 기준 4313만원이다. 반면 전문의 평균 연봉은 2억3690만원이다. 의사로선 선뜻 연구자의 길을 택하기가 어렵고, 연구소와 기업도 의사를 채용하기 부담스러운 요인이 된다.
임상의는 당장 한 명의 환자를 살리지만 의사과학자는 미래 1만 명의 환자를 구할 수 있다. 제임스 윌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는 “한국도 의사와 과학자 간 경계를 허물 필요가 있다”며 “국제무대 경쟁력을 갖추는 세기의 과학자를 배출하려면 의사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