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육아를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남성이 작년에 1만6000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주된 활동이 육아였던 남성은 1만6000명으로 1만2000명이었던 지난해보다 37.4%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연간 기준 역대 가장 많은 수치다. 다만 통계청은 육아하는 남성의 수가 적어 통계적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육아하는 남성은 2013년 6000명에서 2019년 9000명, 2021년 1만3000명 등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는 2013년 148만3000명에서 2017년 126만6000명 등으로 감소하다가 2022년부터 100만명을 밑도는 상황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 주된 활동인 사람은 감소하는 가운데, 육아하는 남성 비경제활동인구가 10년간 3배 가까운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8400명으로 53.3%의 비중을 차지했다. 30대가 4600명으로 뒤를 이었다.

여성의 경제활동은 늘어나는 추세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5.6%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육아를 하는 여성도 지난해 84만명으로 14.7%가량 줄었지만 작년 기준으로 육아를 한 남성 인구의 52.5배에 달해 여전히 여성이 육아를 도맡고 있다.

한국경제인연합회 등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15∼64세 기준)이 202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31위에 머무르는 등 다른 나라에 비해 부진한 상황이다.

정부는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해 내달 여성 경제활동 확대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