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실내에서 제대로 ‘안 터지는’ 5세대(5G) 통신에 돋보기를 들이댄다. 실외에 비해 실내 통신 품질이 저조한 경우가 많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실내·농어촌 5G 품질 높여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의 ‘통신서비스 이용 가능지역 점검 및 품질평가(통신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통신 품질평가는 통신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촉진하고 이용자에게 통신서비스 품질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다.

올해 통신 품질평가는 실내에서 5G 통신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5G 서비스 평가 표본 400곳에서 실내 시설의 평가 비중을 26%에서 40%로 높였다. 특히 평가 표본이 되는 시설을 선정할 때 실내 5G 무선국(기지국, 중계기 등)이 없는 시설을 우선으로 하는 방침도 세웠다. 통신사가 5G 무선국을 설치하지 않은 건물은 실내 통신 품질이 저조하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올해는 실내 시설의 5G 품질 평가를 대폭 강화해 통신사가 실내 품질 향상을 위해 투자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시범 평가한 농어촌 5G 공동망의 표본 수를 기존 30개에서 올해 45개 읍·면으로 확대하는 것도 눈에 띄는 변화다. 농어촌 5G 이용 가능 지역에 대한 점검도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한다. 비도심 지역 5G 서비스의 품질을 끌어올리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지난해 평가 결과 5G·LTE 품질 미흡 지역과 5G 접속 미흡 시설로 분류된 곳은 품질 개선 여부를 재점검해 오는 8월 결과를 발표한다. 당시 평가에서는 5G 품질 미흡 지역으로 △LG유플러스 13개소 △SK텔레콤 10개소 △KT 9개소가 꼽혔다. 5G 접속 미흡 시설은 △KT 28개소 △SK텔레콤 17개소 △LG유플러스 15개소로 집계됐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