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소스페소를 아시나요, 누군가와 행복을 공유하는 삶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지중배의 삶의 마리아주-맛있는 음악
“사람답게 사는 게 뭔데?”
“사람답게 사는 게 뭔데?”
“사람답게 사는 게 뭔데?”
-영화 ‘소공녀’ 중 미소의 대사-
![ⓒ네이버영화](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12891.1.png)
일반화 시킬 수는 없지만 이탈리아 사람들은 커피 한잔의 여유가 없다는 것은 곧 ‘인간다운 삶’을 누리지 못한다고 한다. 너무 과장된 표현처럼 들리지만 내가 이탈리아를 갈 때마다 이탈리아인 동료들을 만날 때 마다 그렇게 느끼곤 한다. 커피란 그들에게 ‘살만한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GettyImages](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12751.1.jpg)
![카페 소스페소](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12782.1.jpg)
그 이후로 커피는 나에게 음료이상의 의미가 되었다. 아침에 일어나 고요한 아침공기 속에서 달그락 달그락 커피 내리는 그 시간은 혼자 있는 사색의 시간이고, 리허설을 하고 쉬는 시간에 극장 칸티네에서 옹기 종기 동료들과 마시는 커피는 함께 있는 사람들과 공유하는 시간이다. 소중한 사람들과 같이 시간을 보냈던 커피숍에서의 커피는 추억을 마시는 행위이고, 수십년전, 수백년전 역사속의 인물들이 커피를 마신 공간에서의 커피는 시간을 여행하는 행위이다. 피곤할 때는 활력을 불어넣는 음료이고, 위로받고 싶을 때는 나를 토닥토닥 해주는 음료이다.
오래전에 나의 선생님, 클라우스는 나에게, 함께 하는 커피가 주는 행복을 그가 지휘하는 연주회에서 오감으로 느끼게 해준적이 있었다. 보통의 연주와 같이 1부를 마치고 관객들은 극장 로비에서 두런두런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 클라우스가 로비에 있던 쳄발로를 연주함과 동시에 누군가가 휴식을 즐기고 있던 관객들 사이에서 소리쳤다. 정확히는 노래를 시작하였다.
어쩌면 ‘살만한 삶’을 위해서 많은 것들이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전고운 감독의 영화 ‘소공녀’의 미소(이솜 분) 내가 생각하는 모든 영화와 드라마 인물 중 가장 위스키를 소중하고 맛있게 마시는 사람이다. 일당 4만5000원의 가사도우미로 일하며 사는 미소는 형편이 어렵다. 게다가 평생을 짊어지고 가야 하는 병도 있다. 삶이 어려워도 그는 자신이 선택한 삶에 후회하지 않고 막연한 미래 때문에 현재를 놓치지 않고 현재의 행복을 누린다. 오히려 친구들에게 위로와 힘을 준다. 집과 소유물을 정리해 가면서도 그에게 ‘살만한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은 그리 많지 않다. 미소가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은 하루를 마감하며 마시는 한잔의 위스키와 한 개비의 담배 그리고 사랑하는 이와의 시간이다.
![카페 소스페소를 아시나요, 누군가와 행복을 공유하는 삶](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BF.17324776.1.jpg)
“나는 담배, 위스키 그리고 한솔이 너… 그게 내 유일한 안식처야”
-영화 ‘소공녀’ 중 미소의 대사-
![ⓒ네이버영화](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1286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