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낮을수록 만족도↓…"연령 높아질수록 만족도 하락"
상대적 빈곤율 상승…고령층 빈곤율, OECD 회원국 중 2위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개선됐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이 낮을수록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하락한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를 발간했다.

◇ 삶의 만족도 2022년 6.5점으로 올라…코로나19 이후 개선세
2022년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6.5점으로 전년보다 0.2점 높아졌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0∼10점으로 측정한다.

삶의 만족도는 2018년 6.1점까지 높아졌다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에 6.0점으로 정체된 이후 상승하는 모습이다.

실제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고용률, 대학 졸업자 취업률,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 1인당 국내 여행 일수 등이 개선됐다.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2022년 69.6%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1인당 국내 여행 일수는 2019년 10.01일에서 2020년 5.81일까지 줄었다가 2022년 8.29일로 증가했다.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도 2019년 10만명당 380.3건에서 2021년 501.9건까지 올랐다가 2022년 384.7건까지 내려왔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
◇ 소득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OECD 38개국 중 35위
다만 소득수준별로 삶의 만족도는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6.0점으로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6.4점)보다 0.4점 낮았다.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는 6.6점으로 이들 가구보다 더 높았다.

소득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는 여전히 최하위권이었다.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는 2020∼2022년에 5.95점으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에 35위였다.

우리나라보다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6점), 콜롬비아(5.6점), 그리스(5.9점) 등이었다.

OECD 평균은 6.69점으로 우리보다 0.74점 높았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
◇ "연령 높을수록 만족도 하락…노년, 물질적 삶에 취약"
이번 보고서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하락한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권다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박사는 아동청소년(13∼19세), 청년(20∼34세), 중장년(35∼64세), 노년(65세 이상) 등으로 구분해 그룹별로 내면적 삶(주관적 만족감), 삶의 역량(교육·건강·여가), 사회적 삶(대인관계·가족관계), 물질적 삶(소득·소비·근로여건) 등을 통계청 사회조사를 바탕으로 측정했다.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의 순으로 만족도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관적인 만족감에 대해 아동청소년은 56.6%가 만족을 표한 반면, 노년은 29.9%가 만족을 표했다.

여가활동에 대해서도 아동청소년은 48.2%가 만족했지만, 노년은 16.6%에 그쳤다.

물질적 삶(아동청소년은 제외)의 경우에도 노년의 만족도가 가장 취약했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 개선됐지만 여전히 OECD 최하위권
◇ 노인 상대적 빈곤율 39%…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아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 문제는 지표상으로도 드러났다.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2021년 39.3%였다.

이는 OECD 회원 37개국 중 에스토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은 2022년 14.9%로 전년(14.8%)보다 소폭 상승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아홉번째로 높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