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은 저PBR 아닌 '주주환원'…대형보단 중소형주가 유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기백 한투운용 팀장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결국 해소될 것"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결국 해소될 것"
"핵심은 저PBR(주가순자산비율)이 아니라 기업들의 주주환원 강화 및 정책화를 통해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중소가치팀 팀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주주환원 세미나'에서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일컫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불투명한 지배구조와 낮은 주주환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배구조가 불투명해 경영진이 주주 전체의 이익보다 지배주주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주주들의 몫인 기업의 이익을 특정 지배주주가 독점하는 등 주주환원에 인색하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김 팀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결국 해소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1세대 창업주의 은퇴 시기가 다가왔고, 사회적으로 주주행동주의와 주주연대가 확산하고 있으며, 감사위원 분리선출 및 소수주주권 행사 요건 완화 등 정부의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서 2020년께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김 팀장은 "한국 기업은 안 바뀐다고들 하는데 정확하게 얘기하면 1세대 창업주가 안 바뀌어서 안 바뀐 것"이라며 "기업 내부적 변화와 사회적·제도적 변화가 서로 맞물리며 서로를 자극하는 움직임은 한번 시작되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도 주주환원 움직임이 시작되고 나면 그 흐름이 중간에서 멈춘 적은 없었다"며 "저PBR 테마주 같은 관점이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이 변화의 초입에 와 있다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주환원 시대에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유망하다고 내다봤다. 김 팀장은 "중견 및 중소기업들은 이제 막 1세대에서 2세대로 지배구조 변화를 경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30% 수준의 주주환원율을 기록 중인 대기업과 달리 향후 주주환원율 상승 여력이 높아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주환원을 지속할 수 있는 중견 및 중소기업의 조건은 우량주의 조건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지만, 해당 종목들은 개인 투자자들이 정보를 찾아 분석하기 쉽지 않다"며 "펀드매니저가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ETF와 같은 투자상품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는 각각 2007년과 2022년 처음 출시된 펀드로, 이익과 자본의 질이 좋은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전환할 기회가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는 2014년부터,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ETF는 상장 당시부터 김 팀장이 책임운용역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주주환원’ 키워드를 상품명에 녹인 ETF는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가 유일하다.
오는 26일 발표될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선 "프로그램 하나로 한국 증시의 명운을 가르는 것처럼 생각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며 일희일비하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밸류업 프로그램도 사실은 정부가 추진하는 수많은 제도 개선 중에 하나라고 이해를 해야 하고 한 술에 배부를 수 없듯이 정부가 계속 제도 개선을 점진적으로 해나가고 있다는 정도로 보는 게 투자자의 맞는 태도"라고 강조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중소가치팀 팀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주주환원 세미나'에서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일컫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불투명한 지배구조와 낮은 주주환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배구조가 불투명해 경영진이 주주 전체의 이익보다 지배주주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주주들의 몫인 기업의 이익을 특정 지배주주가 독점하는 등 주주환원에 인색하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김 팀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결국 해소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1세대 창업주의 은퇴 시기가 다가왔고, 사회적으로 주주행동주의와 주주연대가 확산하고 있으며, 감사위원 분리선출 및 소수주주권 행사 요건 완화 등 정부의 제도 개선이 이뤄지면서 2020년께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김 팀장은 "한국 기업은 안 바뀐다고들 하는데 정확하게 얘기하면 1세대 창업주가 안 바뀌어서 안 바뀐 것"이라며 "기업 내부적 변화와 사회적·제도적 변화가 서로 맞물리며 서로를 자극하는 움직임은 한번 시작되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도 주주환원 움직임이 시작되고 나면 그 흐름이 중간에서 멈춘 적은 없었다"며 "저PBR 테마주 같은 관점이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이 변화의 초입에 와 있다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주환원 시대에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유망하다고 내다봤다. 김 팀장은 "중견 및 중소기업들은 이제 막 1세대에서 2세대로 지배구조 변화를 경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30% 수준의 주주환원율을 기록 중인 대기업과 달리 향후 주주환원율 상승 여력이 높아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주환원을 지속할 수 있는 중견 및 중소기업의 조건은 우량주의 조건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지만, 해당 종목들은 개인 투자자들이 정보를 찾아 분석하기 쉽지 않다"며 "펀드매니저가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ETF와 같은 투자상품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는 각각 2007년과 2022년 처음 출시된 펀드로, 이익과 자본의 질이 좋은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전환할 기회가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투자중소밸류펀드는 2014년부터,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ETF는 상장 당시부터 김 팀장이 책임운용역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주주환원’ 키워드를 상품명에 녹인 ETF는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가 유일하다.
오는 26일 발표될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선 "프로그램 하나로 한국 증시의 명운을 가르는 것처럼 생각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며 일희일비하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밸류업 프로그램도 사실은 정부가 추진하는 수많은 제도 개선 중에 하나라고 이해를 해야 하고 한 술에 배부를 수 없듯이 정부가 계속 제도 개선을 점진적으로 해나가고 있다는 정도로 보는 게 투자자의 맞는 태도"라고 강조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