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MR 파운드리 선점에 'K원전 르네상스' 성패 달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경남도청에서 열린 14번째 민생토론회에서 올해를 ‘원전 재도약 원년’으로 선포한 것은 지난 정부의 탈(脫)원전으로 무너진 생태계 복원을 넘어 새롭게 열리는 원전 르네상스를 선도하겠다는 의지 표현이다. 이를 위해 3조3000억원 규모 원전 일감과 1조원의 특별금융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놨다. 특히 미래 원전 패권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형모듈원전(SMR)에 집중해 SMR 선도국으로 도약한다는 구상이 눈에 띈다.
원전은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최적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17개국에서 약 60기의 원자로가 건설 중이며, 110기는 계획 단계에 있다. 게다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전기차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원전 수요 역시 급증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게임 체인저’로 등장한 게 SMR이다. 다수의 소형모듈형 원자로를 연결해 원전을 구성하는 개념이다. 한국은 2012년 세계 최초로 소형원자로 표준설계 인증을 획득해 SMR 선도국으로 평가받았지만, 탈원전 정책 5년 만에 주변국으로 밀려났다. 이런 상황에서 창원·경남 지역을 ‘글로벌 SMR 파운드리(수탁생산) 허브’로 육성한다는 정부 계획은 차세대 원전 시장을 잡기 위한 승부수다. 이미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선도국은 2030년대 초 SMR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민관 역량을 결집해 추격자를 넘어 초격차 기술 개발과 제반 생태계 조성에 가속을 붙여야 하는 이유다.
원전 가동 때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영구 처분 시설(고준위 방폐장)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시급한 과제다. 고준위 핵폐기물 영구 처리 시설이 전무한 현 상태가 계속되면 2030년부터 저장시설 포화로 원전 가동을 멈춰야 한다. 부지 선정에만 13년, 완공까지는 37년이 걸리는 일이다. 거대 야당은 탈원전 미몽에서 깨어나 개회 중인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하도록 협조해야 한다.
원전은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최적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17개국에서 약 60기의 원자로가 건설 중이며, 110기는 계획 단계에 있다. 게다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전기차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원전 수요 역시 급증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게임 체인저’로 등장한 게 SMR이다. 다수의 소형모듈형 원자로를 연결해 원전을 구성하는 개념이다. 한국은 2012년 세계 최초로 소형원자로 표준설계 인증을 획득해 SMR 선도국으로 평가받았지만, 탈원전 정책 5년 만에 주변국으로 밀려났다. 이런 상황에서 창원·경남 지역을 ‘글로벌 SMR 파운드리(수탁생산) 허브’로 육성한다는 정부 계획은 차세대 원전 시장을 잡기 위한 승부수다. 이미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선도국은 2030년대 초 SMR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민관 역량을 결집해 추격자를 넘어 초격차 기술 개발과 제반 생태계 조성에 가속을 붙여야 하는 이유다.
원전 가동 때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영구 처분 시설(고준위 방폐장)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시급한 과제다. 고준위 핵폐기물 영구 처리 시설이 전무한 현 상태가 계속되면 2030년부터 저장시설 포화로 원전 가동을 멈춰야 한다. 부지 선정에만 13년, 완공까지는 37년이 걸리는 일이다. 거대 야당은 탈원전 미몽에서 깨어나 개회 중인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하도록 협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