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치게 예민하고 나약… '눈송이'로 불리는 미국 젊은이들 [서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꼰대들은 우리를 눈송이라고 부른다>
예민하고 나약하고 불평많은 요즘 애들, 유별난 이유
젊은 세대에 대한 멸칭 '눈송이 세대'
'요즘 애들' 욕하는 영미권 '꼰대'에 반박
예민하고 나약하고 불평많은 요즘 애들, 유별난 이유
젊은 세대에 대한 멸칭 '눈송이 세대'
'요즘 애들' 욕하는 영미권 '꼰대'에 반박
'매를 맞지 않고 애지중지 자라서 인성이 부족하다.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한 후에는 안전공간, 트리커 경고, 진보사상이 애들을 망친다. 최악은 이 밉살맞고 히스테릭한 존재들이 일터로 나갈 때 생기는 일이다.(중략) 일터의 젊은이들은 때로 나이든 상사들을 미치게 한다. 부당한 업무에 항의하고, 서로의 임금을 비교하며 자신의 임금에 대해 불평하고,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하고, 더 나은 처우를 요구한다. 소임을 다한다는 것이 일터에서 소모되고 혹사당하는 것의 완곡어법이라면 이를 거부한다. 처우가 나쁘면 사표를 던진다.'
젊은이들에 대한 한국 기성세대의 불평불만 같지만 아니다. 요즘 애들이 '난치성 눈송이병'에 걸렸다고 진단하는 미국 영국 '꼰대'들의 주장이다. 고생이라곤 안 해봐서 인내심도 회복탄력성도 없고, 툭하면 징징대는 응석받이에, 지나치게 예민한 자아도취자라며 끌끌 혀를 찬다. 제2차 세계대전 때 8개월에 걸친 독일의 장기간 공습을 견뎌낸 '블리츠(Blitz) 정신'은 찾아볼 수 없고 불평불만만 늘어놓는 약해빠진 세대라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에서 대중문화와 정치를 다루는 저널리스트 해나 주얼은 <꼰대들은 우리를 눈송이라고 부른다>(원제 'We Need Snowflakes')에서 보수적 기성세대의 이런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한다. 요즘 젊은이들이 이전 세대에 비해 특별히 나약하거나 유별나서가 아니라 이들의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행동을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이들을 악마화하고 억압하기 위해 사실을 왜곡, 과장하고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책에 따르면 '눈송이 세대'라는 말 자체가 이런 젊은이들에 대한 멸칭이다. '콜린스 영어사전'은 2016년 '눈송이 세대'를 그해의 10대 어구로 선정했는데 '전 세대에 비해 강하지 못하고 쉽게 마음 상하는 경향이 있다고 여겨지는 2010년대의 젊은 청년들'이라고 풀이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풀이도 크게 다르지 않다. 1만5000년 전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도 '요즘 애들'의 버릇없음을 개탄하는 낙서가 있다지만, 요즘 애들에 대한 이런 낙인 찍기와 악마화는 지나치다는 게 저자의 분석이다. 그는 극단적 우파는 물론 기득권자가 된 진보엘리트주의자와 급진 페미니스트까지 가세해 '눈송이'라는 멸칭의 대중화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다고 꼬집는다. 문화전쟁의 진원지가 된 대학 내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논란이 대표적이다. 1964~65년 UC버클리에서 일어난 표현의자유운동(FSM)은 대규모 학생 시위와 농성, 교수들의 지지선언과 파업 등을 통해 학내에서의 표현의 자유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언론과 비판자들이 학생들을 폭도, 테러리스트라고 불렀다. 1966년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출마한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UC버클리 혼란 일소’를 공약으로 내세웠을 정도였다.
그런데도 눈송이 비판자들은 당시의 FSM을 우호적으로 기념하면서도 요즘 학생들의 시위는 도가 지나치고, 표현의 자유라는 기본권을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인종, 젠더 등과 관련해 학생들이 극우인사들의 대학 강연을 가로막으면서 검열관 행세를 하고, 공인들은 ‘미투운동’ 때처럼 문제적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커리어가 하루아침에 파탄 나는 ‘철회(cancel)의 공포’에 떤다는 것이다. 저자는 “진짜 검열은 제도 권력이 하는 것”이라며 눈송이들의 비판과 시위, 논쟁, 변화를 위한 활동을 옹호한다. “대학은 자유로운 발언들이 뒤섞여 들끓는 가마솥이지 그것들을 누그러뜨리는 약음기가 아니다. 인생에서 또 언제 우리에게 정중한 타협보다 논쟁을 선호할 책무가 주어지겠는가.”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다.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미국 명문대 총장들이 사임했다. 국내 상황과는 적잖은 차이가 있지만, 세대·계층·진영 등으로 갈라치는 건 답이 아니라는 건 분명하다. 눈송이 논란을 지나치게 우파 음모론으로 몰아가는 저자의 주장엔 동의하기 어렵다.
하지만 눈송이들의 예민함과 유난스러움, 불평과 불만, 비판적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누군가 주변 사람을 눈송이라고 부를 때, 눈송이의 활동에 대해 경멸이나 분노, 불편함을 내비칠 땐 그들이 그러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보라."
서화동 논설위원 fireboy@hankyung.com
젊은이들에 대한 한국 기성세대의 불평불만 같지만 아니다. 요즘 애들이 '난치성 눈송이병'에 걸렸다고 진단하는 미국 영국 '꼰대'들의 주장이다. 고생이라곤 안 해봐서 인내심도 회복탄력성도 없고, 툭하면 징징대는 응석받이에, 지나치게 예민한 자아도취자라며 끌끌 혀를 찬다. 제2차 세계대전 때 8개월에 걸친 독일의 장기간 공습을 견뎌낸 '블리츠(Blitz) 정신'은 찾아볼 수 없고 불평불만만 늘어놓는 약해빠진 세대라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에서 대중문화와 정치를 다루는 저널리스트 해나 주얼은 <꼰대들은 우리를 눈송이라고 부른다>(원제 'We Need Snowflakes')에서 보수적 기성세대의 이런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한다. 요즘 젊은이들이 이전 세대에 비해 특별히 나약하거나 유별나서가 아니라 이들의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행동을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이들을 악마화하고 억압하기 위해 사실을 왜곡, 과장하고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책에 따르면 '눈송이 세대'라는 말 자체가 이런 젊은이들에 대한 멸칭이다. '콜린스 영어사전'은 2016년 '눈송이 세대'를 그해의 10대 어구로 선정했는데 '전 세대에 비해 강하지 못하고 쉽게 마음 상하는 경향이 있다고 여겨지는 2010년대의 젊은 청년들'이라고 풀이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풀이도 크게 다르지 않다. 1만5000년 전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도 '요즘 애들'의 버릇없음을 개탄하는 낙서가 있다지만, 요즘 애들에 대한 이런 낙인 찍기와 악마화는 지나치다는 게 저자의 분석이다. 그는 극단적 우파는 물론 기득권자가 된 진보엘리트주의자와 급진 페미니스트까지 가세해 '눈송이'라는 멸칭의 대중화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다고 꼬집는다. 문화전쟁의 진원지가 된 대학 내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논란이 대표적이다. 1964~65년 UC버클리에서 일어난 표현의자유운동(FSM)은 대규모 학생 시위와 농성, 교수들의 지지선언과 파업 등을 통해 학내에서의 표현의 자유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언론과 비판자들이 학생들을 폭도, 테러리스트라고 불렀다. 1966년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출마한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UC버클리 혼란 일소’를 공약으로 내세웠을 정도였다.
그런데도 눈송이 비판자들은 당시의 FSM을 우호적으로 기념하면서도 요즘 학생들의 시위는 도가 지나치고, 표현의 자유라는 기본권을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인종, 젠더 등과 관련해 학생들이 극우인사들의 대학 강연을 가로막으면서 검열관 행세를 하고, 공인들은 ‘미투운동’ 때처럼 문제적 말이나 행동으로 인해 커리어가 하루아침에 파탄 나는 ‘철회(cancel)의 공포’에 떤다는 것이다. 저자는 “진짜 검열은 제도 권력이 하는 것”이라며 눈송이들의 비판과 시위, 논쟁, 변화를 위한 활동을 옹호한다. “대학은 자유로운 발언들이 뒤섞여 들끓는 가마솥이지 그것들을 누그러뜨리는 약음기가 아니다. 인생에서 또 언제 우리에게 정중한 타협보다 논쟁을 선호할 책무가 주어지겠는가.”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다.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미국 명문대 총장들이 사임했다. 국내 상황과는 적잖은 차이가 있지만, 세대·계층·진영 등으로 갈라치는 건 답이 아니라는 건 분명하다. 눈송이 논란을 지나치게 우파 음모론으로 몰아가는 저자의 주장엔 동의하기 어렵다.
하지만 눈송이들의 예민함과 유난스러움, 불평과 불만, 비판적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누군가 주변 사람을 눈송이라고 부를 때, 눈송이의 활동에 대해 경멸이나 분노, 불편함을 내비칠 땐 그들이 그러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보라."
서화동 논설위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