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공기업 '밸류업' 기대로 뛰었지만…외국인은 발 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23일 전 거래일보다 2.17% 오른 2만355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가스공사 역시 0.17% 상승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이 반영됐다. 정부는 공기업 경영평가 기준에 주주가치 제고 항목을 포함하는 등 주주환원 확대를 유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처음 언급됐던 지난달 17일 이후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각각 24.07%, 31.30% 뛰었다.
한국가스공사도 마찬가지다. 한국가스공사의 외국인 보유비중은 2021년 2월 1일 8.85%에서 해마다 10.35%, 9.25%, 5.79%로 줄었다.
외국인 투자자는 수급의 중요한 축이다. 이들이 발을 빼는 것은 향후 공기업 주가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앞두고 최근 외국인 투자자가 유입되고는 있지만 '반짝' 유입 효과를 내는 데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재선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정책을 부스트할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주가 부양이 가능하다"며 "결국 기업의 장기 업황 성장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는 적자와 미수금으로 인해 지난해 무배당을 결정했다. 국제유가 등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역마진'이 해소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정상화를 위해서는 전기 및 가스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12월 기준 ㎾h(킬로와트시)당 133.9원에 전력을 사서 166.1원에 판매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구조적인 재무구조 개선이 없다면 주가 부양은 쉽지 않다"면서도 "전기요금 현실화 정책의 정당성을 높여주는 이벤트라는 점에서 지속적인 밸류에이션 상향도 가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