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50세 넘어 시작한 도전에서 성공한 사람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더 넥스트
조앤 리프먼 지음 / 김성아 옮김
미래의창 / 408쪽|2만1000원
조앤 리프먼 지음 / 김성아 옮김
미래의창 / 408쪽|2만1000원
미국 매사추세츠의 전화기 수리기사였던 크리스 도너번에게는 오랜 취미가 있었다. 고등학교 때부터 여성용 구두를 아주 섬세하게 스케치했다. 그의 디자인은 편하게 신는 신발보다 건축 설계도에 가까웠다. 50세가 됐을 때 전립선암을 진단받고 원치 않게 직장을 그만두게 됐다.
54세에 병이 완치된 후 그는 절박함 속에 이탈리아 디자인학교에 등록해 최고령 학생이 됐다. 구두 디자이너로 새 출발한 것이다. 그는 61세에 패션계에서 가장 참신한 슈퍼스타로 소개됐다. 구두 브랜드 ‘크리스 도너번’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사상 첫 여성 부편집장이었던 저널리스트 조앤 리프먼은 <더 넥스트>에서 앞선 사례처럼 실패를 극복하고 자신의 인생 2막을 여는 데 성공한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이들을 인터뷰하고 신경과학, 사회심리학, 인지과학 등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그들의 삶을 관통하는 법칙을 제시한다. 이들은 인생의 다음 단계로 도약할 때 ‘탐색-분투-중단-해법’이라는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화는 정보를 수집하는 ‘탐색’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에는 불편하고 절망적일 수 있는 ‘분투’로 접어든다. 그러다가 종종 휴식을 취하거나 강제로 ‘중단’당하는 단계에 접어들면서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마침내 국면 전환과 함께 ‘해법’이 도출되면 변화가 완수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소개하는 사람은 대부분 50세 이후에 새로운 도전에 나서 성공을 이룬 사람이다. 할랜드 데이비스 샌더스는 변호사 생활이 참담한 실패로 끝난 후 개업한 식당이 망했다. 65세에 파산하고 사회보장금과 연금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식당에서 그나마 잘 팔렸던 프라이드치킨 조리 비법으로 프랜차이즈 권리를 팔고 다녔다. 이 프랜차이즈는 KFC가 됐고 그의 얼굴은 이 회사의 마스코트가 됐다.
책 속의 주인공들은 다양한 난관에 직면했고 다양한 방식으로 대처했다. 수렁에 빠진 것처럼 바퀴가 헛도는 기분이 들 때도 정지한 게 아니라 탐색하며 전진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변화는 반복적이고 계속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일에 마음을 열라고 조언한다. 다음 정착지는 자신이 계획한 곳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종석 기자 ellisica@hankyung.com
54세에 병이 완치된 후 그는 절박함 속에 이탈리아 디자인학교에 등록해 최고령 학생이 됐다. 구두 디자이너로 새 출발한 것이다. 그는 61세에 패션계에서 가장 참신한 슈퍼스타로 소개됐다. 구두 브랜드 ‘크리스 도너번’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사상 첫 여성 부편집장이었던 저널리스트 조앤 리프먼은 <더 넥스트>에서 앞선 사례처럼 실패를 극복하고 자신의 인생 2막을 여는 데 성공한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이들을 인터뷰하고 신경과학, 사회심리학, 인지과학 등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그들의 삶을 관통하는 법칙을 제시한다. 이들은 인생의 다음 단계로 도약할 때 ‘탐색-분투-중단-해법’이라는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화는 정보를 수집하는 ‘탐색’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에는 불편하고 절망적일 수 있는 ‘분투’로 접어든다. 그러다가 종종 휴식을 취하거나 강제로 ‘중단’당하는 단계에 접어들면서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마침내 국면 전환과 함께 ‘해법’이 도출되면 변화가 완수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소개하는 사람은 대부분 50세 이후에 새로운 도전에 나서 성공을 이룬 사람이다. 할랜드 데이비스 샌더스는 변호사 생활이 참담한 실패로 끝난 후 개업한 식당이 망했다. 65세에 파산하고 사회보장금과 연금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식당에서 그나마 잘 팔렸던 프라이드치킨 조리 비법으로 프랜차이즈 권리를 팔고 다녔다. 이 프랜차이즈는 KFC가 됐고 그의 얼굴은 이 회사의 마스코트가 됐다.
책 속의 주인공들은 다양한 난관에 직면했고 다양한 방식으로 대처했다. 수렁에 빠진 것처럼 바퀴가 헛도는 기분이 들 때도 정지한 게 아니라 탐색하며 전진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변화는 반복적이고 계속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일에 마음을 열라고 조언한다. 다음 정착지는 자신이 계획한 곳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종석 기자 ellisic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