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 먼저 여는 자가 미래승자'…달나라서 '자원확보 전쟁' 불붙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간 주도 '우주 골드러시' 시대
소행성 하나에 500억달러 백금 매장
"달의 가치 상상 초월"…앞다퉈 채굴 경쟁
소행성 하나에 500억달러 백금 매장
"달의 가치 상상 초월"…앞다퉈 채굴 경쟁
인튜이티브머신스의 우주선 오디세우스가 글로벌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민간 달 탐사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과학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과 옛 소련, 중국, 인도, 일본까지 5개국이다. 1966년 옛 소련의 ‘루나 9호’가 세계 최초 달 착륙 기록을 세웠으며, 미국은 1969년 ‘아폴로 11호’를 시작으로 1972년 ‘아폴로 17호’까지 달 착륙에 성공했다. 이후 중국은 2014년 ‘창어 3호’를, 인도는 지난해 8월 ‘찬드라얀 3호’, 일본은 지난달 20일 ‘슬림’을 달에 착륙시켰다. 이는 전부 국가 차원에서 이뤄진 프로젝트다.
최근 달 탐사 경쟁이 불붙으면서 민간 기업들의 시도가 이어졌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2019년 이스라엘 스페이스아이엘이 개발한 ‘베레시트’, 지난해 일본 아이스페이스가 만든 ‘하쿠토-R 미션1’이 잇달아 달로 떠났지만, 마지막 착륙 단계에서 기술적 이상이 생겨 월면에 충돌했다. 지난달에는 미국 아스트로보틱이 개발한 ‘페레그린’이 발사됐지만, 치명적인 연료 누출 문제가 발생해 달까지 가지 못했다.
오디세우스의 달 착륙 성공은 본격적으로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에 희소식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인튜이티브머신스는 이르면 올해 말 세 번째 노바-C에 한국천문연구원의 달 우주환경 모니터 ‘루셈’(LUSEM)을 실어 보낼 예정이다. 인튜이티브머신스는 우주산업 진출을 선언한 보령(옛 보령제약)과 지난해 12월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하는 등 한국과 공동 사업도 진행 중이다.
우주산업이 국가 주도에서 민간으로 확장하면서 세계 우주 기관, 기업들은 우주 자원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천체물리학자 닐 더그래스 타이슨은 “우주에서 천연자원을 가장 먼저 발굴하는 사람이 첫 번째 ‘조(兆)만장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노아 포포낙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축구장 크기만 한 소행성 하나에도 많으면 500억달러(약 66조원) 가치의 백금이 매장돼 있다”고 밝혔다. 일례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프시케’는 대부분 금·니켈·철 같은 금속으로 이뤄져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0㎞ 폭의 프시케에 묻힌 철의 가치만 1000경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보다 훨씬 큰 달의 광물 가치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23일 과학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과 옛 소련, 중국, 인도, 일본까지 5개국이다. 1966년 옛 소련의 ‘루나 9호’가 세계 최초 달 착륙 기록을 세웠으며, 미국은 1969년 ‘아폴로 11호’를 시작으로 1972년 ‘아폴로 17호’까지 달 착륙에 성공했다. 이후 중국은 2014년 ‘창어 3호’를, 인도는 지난해 8월 ‘찬드라얀 3호’, 일본은 지난달 20일 ‘슬림’을 달에 착륙시켰다. 이는 전부 국가 차원에서 이뤄진 프로젝트다.
최근 달 탐사 경쟁이 불붙으면서 민간 기업들의 시도가 이어졌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2019년 이스라엘 스페이스아이엘이 개발한 ‘베레시트’, 지난해 일본 아이스페이스가 만든 ‘하쿠토-R 미션1’이 잇달아 달로 떠났지만, 마지막 착륙 단계에서 기술적 이상이 생겨 월면에 충돌했다. 지난달에는 미국 아스트로보틱이 개발한 ‘페레그린’이 발사됐지만, 치명적인 연료 누출 문제가 발생해 달까지 가지 못했다.
오디세우스의 달 착륙 성공은 본격적으로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에 희소식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인튜이티브머신스는 이르면 올해 말 세 번째 노바-C에 한국천문연구원의 달 우주환경 모니터 ‘루셈’(LUSEM)을 실어 보낼 예정이다. 인튜이티브머신스는 우주산업 진출을 선언한 보령(옛 보령제약)과 지난해 12월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하는 등 한국과 공동 사업도 진행 중이다.
우주산업이 국가 주도에서 민간으로 확장하면서 세계 우주 기관, 기업들은 우주 자원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천체물리학자 닐 더그래스 타이슨은 “우주에서 천연자원을 가장 먼저 발굴하는 사람이 첫 번째 ‘조(兆)만장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노아 포포낙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축구장 크기만 한 소행성 하나에도 많으면 500억달러(약 66조원) 가치의 백금이 매장돼 있다”고 밝혔다. 일례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프시케’는 대부분 금·니켈·철 같은 금속으로 이뤄져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0㎞ 폭의 프시케에 묻힌 철의 가치만 1000경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보다 훨씬 큰 달의 광물 가치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