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콘텐츠진흥원, 국내 OTT 5곳과 업무협약 체결
토종 OTT 글로벌 진출 지원도…유인촌 "상생 발전 위한 한걸음"
"제작사와 'IP 공동 보유' OTT 콘텐츠에 최대 30억원 지원"
정부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와 제작사가 지식재산권(IP)을 공동 보유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한 OTT 콘텐츠에 최대 30억원의 제작비를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8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내 주요 OTT 플랫폼 5곳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OTT 콘텐츠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OTT 업체로는 티빙, 웨이브, LG유플러스 모바일TV, 쿠팡플레이, 왓챠가 참여한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정부와 OTT 업계는 '제작사 IP 확보 기반 OTT 플랫폼 연계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및 투자 협력'을 추진한다.

문체부와 콘텐츠진흥원은 ▲ 정부와 OTT의 콘텐츠 투자 협력 ▲ OTT와 제작사의 IP 공동 보유 ▲ OTT 내 편성·방영을 조건으로 경쟁력 있는 드라마와 예능, 다큐멘터리 등에 각각 최대 30억원 규모 제작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OTT는 우수한 콘텐츠를 유치해 경쟁력을 높이고, 제작사는 IP를 보유해 중장기적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문체부는 기대했다.

그간 방송영상 업계에서는 글로벌 OTT를 중심으로 수익 창출 핵심 요소인 IP를 독점하는 사례가 많아 문제로 지적됐다.

"제작사와 'IP 공동 보유' OTT 콘텐츠에 최대 30억원 지원"
또한 업무협약에는 OTT 플랫폼과 방송영상콘텐츠 세계 진출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 토종 OTT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담겼다.

이를 위해 문체부와 콘텐츠진흥원은 ▲ 고객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 구축 ▲ 영상의 화질·음향 등을 개선하는 디지털 리마스터링 ▲ 콘텐츠 수출 시 해외 방송·OTT의 규격을 고려한 해외 포맷화를 지원한다.

토종 OTT의 해외 방송영상시장 참가 등을 돕는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이밖에 문체부와 콘텐츠진흥원은 자막과 수어, 화면해설방송을 지원해 OTT 플랫폼 생태계에 장벽 없는(Barrier-Free)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12월 유인촌 장관 주재로 열린 'OTT 산업 현장 간담회'의 후속조치로 이뤄졌다.

유 장관은 "OTT를 포함한 방송영상산업은 K-콘텐츠의 핵심"이라며 "이번 업무협약은 문체부와 콘텐츠진흥원, 주요 OTT 사업자가 한자리에 모여 상생 발전을 다짐했다는 점에서 작지만 위대한 한 걸음이라 생각한다.

IP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첨예하지만, IP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방안을 계속 고민하겠다"라고 말했다.

"제작사와 'IP 공동 보유' OTT 콘텐츠에 최대 30억원 지원"
문체부와 콘텐츠진흥원은 그간 '힘쎈여자 강남순'과 '밤에 피는 꽃', '소년시대' 등 방송영상 콘텐츠를 제작 지원해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

올해도 기획과 제작, 유통으로 이어지는 방송영상 콘텐츠 전 주기를 지원한다.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에서는 기존에 없던 'IP 확보 역량·의지'를 과제 선정 평가에 새롭게 반영한다.

이번 업무협약 대상인 OTT 특화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은 'IP 공동 보유'와 '업무협약을 맺은 OTT에서 1차 방영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일반 지원과 특화 지원 사업 수혜작은 후반 작업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유통과 해외 진출 지원 사업도 진행한다.

홍콩과 프랑스, 베트남 등 해외 방송영상시장에 참가해 K-콘텐츠와 토종 OTT를 소개하고, 8월 국내에서 아시아 최대 국제방송영상시장을 열어 국내외 구매자들을 연결한다.

사업별 내용과 공모 기간은 콘텐츠진흥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OTT 특화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은 29일 공고해 3월 18일까지 공모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