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소멸을 막을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으로 6개 광역 지자체와 43개 기초 지자체가 28일 선정됐다.

장상윤 사회수석이 이날 브리핑에서 일부 시범지역의 구상을 공개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전 지역이 교육발전특구로 운영될 전망이다. 정부가 부산시, 부산교육청 등과 협력해 0세부터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4시간 보살핌 늘봄센터, 부산형 365시간제 보육센터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부산국제K팝고교'(가칭)를 설립해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한다.

강원 춘천에서는 기존 강원 애니고를 애니·방송 분야 협약형 특성화고로 육성하고, 춘천고를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 운영한다.

이와 함께 강원대, 한림대 등이 협력해 '푸드테크 바이오학과'를 대학에 신설하는 등 지역 사업에 특화한 취·창업 교육을 활성화한다.

경남 진주·사천·고성은 우주항공 분야로 특화한 교육발전특구로 운영할 계획이다.

경상국립대를 우주항공 분야 우수대학으로 육성하고, 해당 분야 기업과 연계된 협약형 특성화고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