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독립운동가'에 만세운동 도운 호주 선교사 3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제에 고초 겪은 여성 교육자들
국가보훈부는 부산지역 여학교의 만세운동을 도운 호주 선교사 이사벨라 멘지스, 마거릿 샌더먼 데이비스, 데이지 호킹 등 3명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29일 발표했다.
1919년 3월 11일 일신여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태극기를 들고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했다.
보훈부는 “일신여학교 학생과 교사들이 전개한 만세 시위는 부산·경남지역 만세운동의 효시가 됐다”고 평가했다.
마거릿 샌더먼 데이비스는 1910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돼 1914년부터 교장을 맡았다. 1919년 당시 학생들의 만세 시위에 참여해 학생 인솔·보호에 앞장서다 일제에 체포된 뒤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사벨라 멘지스는 1891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돼 부산·경남 지역 최초의 근대 여성 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를 설립해 초대 교장이 됐다. 기숙사 사감을 맡으면서 학생들에게 태극기 제작에 필요한 깃대를 제공했다. 증거인멸을 위해 태극기를 소각한 일로 일제에 체포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데이지 호킹은 1918년부터 일신여학교에서 근무했다. 1919년 학생들에게 만세 시위를 권유하고 함께 행진했다. 일제에 체포돼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1919년 3월 11일 일신여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태극기를 들고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했다.
보훈부는 “일신여학교 학생과 교사들이 전개한 만세 시위는 부산·경남지역 만세운동의 효시가 됐다”고 평가했다.
마거릿 샌더먼 데이비스는 1910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돼 1914년부터 교장을 맡았다. 1919년 당시 학생들의 만세 시위에 참여해 학생 인솔·보호에 앞장서다 일제에 체포된 뒤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사벨라 멘지스는 1891년 호주 선교사로 부산에 파견돼 부산·경남 지역 최초의 근대 여성 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를 설립해 초대 교장이 됐다. 기숙사 사감을 맡으면서 학생들에게 태극기 제작에 필요한 깃대를 제공했다. 증거인멸을 위해 태극기를 소각한 일로 일제에 체포돼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데이지 호킹은 1918년부터 일신여학교에서 근무했다. 1919년 학생들에게 만세 시위를 권유하고 함께 행진했다. 일제에 체포돼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