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부진·글로벌 경기 둔화·3고가 부정적으로 작용
지난해 창업기업 123만9천개로 6% 감소…부동산업 38% 줄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창업기업 수가 123만9천개로 전년보다 6.0% 줄었다고 29일 밝혔다.

2022년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부진 등으로 부동산업 창업기업(12만7천개)이 38.4%나 감소한 것이 신규 창업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동산업을 제외한 창업기업은 111만2천개로 전년과 거의 비슷했다.

또 글로벌 경기 둔화와 고금리·고환율·고물가 등 소위 '3고(高)'가 창업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 엔데믹(경제활동 재개) 이후 대면 업종 생산이 확대되며 숙박 및 음식점(16만9천개·8.1%)과 전기·가스·공기(3만2천개·32.7%) 업종 등의 신규 창업이 늘었다.

숙박과 음식점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그동안 억눌려있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가 작용했다.

그러나 지난해 상반기 많이 늘었다가 하반기에는 고금리, 고물가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했다.

또 개인서비스업이 엔데믹 이후 유동 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 확대,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돌봄 수요 증가 등으로 10.0% 늘었다.

반면 국내외 경기 부진으로 투자가 축소되고 수출이 줄어 도소매업(-1.4%), 건설업(-8.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0%) 등은 신규 창업이 줄었다.

도소매업의 경우 온라인 소비문화 확산 영향으로 전자상거래업을 중심으로 늘었으나 경쟁 심화,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큐텐, 테무 등 대형 역외 해외사업자 등장에 따른 경쟁 심화로 국내 소규모 온라인 창업이 위축됐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건설업종 창업 감소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위축과 신규 수주 감소 등에 따른 것이다.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줄었다.

그러나 부동산업을 빼고 보면 창업은 40대(-2.8%)와 50대(-1.5%)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늘었다.

지난해 기술 기반 창업기업은 22만1천개로 전년보다 3.5% 줄었다.

그러나 전체 창업기업에서 기술 기반 창업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0.5%포인트 높아진 17.9%로 역대 가장 높았다.

[표] 연도별 창업기업 추이 (단위: 개, %)
┌────────┬───────┬──────┬──────┬──────┐
│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전체 │ 1,484,667 │ 1,417,973 │ 1,317,479 │ 1,238,617 │
│ ├───────┼──────┼──────┼──────┤
│ │ (15.5) │ (-4.5) │ (-7.1) │ (-6.0) │
├────────┼───────┼──────┼──────┼──────┤
│ 부동산업 제외 │ 1,046,814 │ 1,100,589 │ 1,111,718 │ 1,111,932 │
│ ├───────┼──────┼──────┼──────┤
│ │ (4.1) │ (5.1) │ (0.1) │ (0.02) │
└────────┴───────┴──────┴──────┴──────┘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