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일할 때에 결혼·출산…"낙오될까 두렵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하는 여성, 왜 출산 꺼리나
첫 출산 연령 OECD '최고령'
승진 압박받으며 아이 키워야
커리어 걱정에 결국 출산 포기
첫 출산 연령 OECD '최고령'
승진 압박받으며 아이 키워야
커리어 걱정에 결국 출산 포기

지난해 첫째를 낳은 8년 차 직장인 이모씨(34)는 둘째를 출산하려던 생각을 접고 복직했다. 이씨의 동기들이 하나둘 승진하는 상황에서 휴직이 더 길어지면 회사에서 낙오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이씨는 복직한 뒤에도 인사고과를 위해 동료들이 꺼리는 ‘빡센’ 임무를 자청했다. 이씨는 “회사에서 내 연차는 성과를 내야 하는 시기”라며 “일단 승진부터 해야 둘째를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26.5세였던 한국 여성의 첫 결혼 연령은 2022년 31.3세로 22년 만에 4.8년 늦춰졌다. 같은 기간 여성이 첫 아이를 출산하는 연령도 27.7세에서 32.8세로 5.1세 높아졌다. 첫 아이 출산 연령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가장 높다. 반면 2021년 기준 OECD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 1위(3명)인 이스라엘은 첫 아이 출산 연령(27.8세)도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다. 이스라엘과 비교하면 한국인의 ‘결혼·출산 시간표’가 5년가량 늦춰져 있는 것이다.
결혼·출산 연령이 높아지면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지난해 기준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비중은 36.3%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취업의 어려움과 집값 급등 등의 여파로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계속 미룬 결과다. 이에 따라 회사 업무가 몰리는 30대 중·후반에 출산과 양육 부담을 함께 떠맡게 되자 출산을 기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학제 개편, 취업 지원 등으로 결혼·출산 연령을 구조적으로 앞당길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꿔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선 아이 있는 여성들이 직장에서 눈치 보지 않는 사회적 문화가 조성돼야 한다”며 “정부뿐 아니라 기업도 당사자로서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