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 감독 만난 줄리앤 무어와 나탈리 포트먼, 예술 연기의 끝을 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뷰] 영화 '메이 디셈버'
'캐롤'의 토드 헤인즈 감독 10번째 작품
실화 기반…아카데미 각본상 후보 오르며 주목
범죄와 로맨스 경계에서 냉정하고 정교한 서사
주연 맡은 두 배우의 스펙터클한 연기 돋보여
'캐롤'의 토드 헤인즈 감독 10번째 작품
실화 기반…아카데미 각본상 후보 오르며 주목
범죄와 로맨스 경계에서 냉정하고 정교한 서사
주연 맡은 두 배우의 스펙터클한 연기 돋보여
두 배우의 ‘악착 같은’ 연기를 한 스크린에서 보는 것만큼 짜릿한 것이 없다. 잉그마르 베르히만의 <페르소나> (1966)에서의 리브 울먼과 비비 앤더슨이 그랬고, 마이클 만의 <히트> (1996) 속 로버트 드 니로와 알 파치노가 그랬다. 마치 거울처럼, 혹은 지킬과 하이드의 양면을 가진 도플갱어처럼 서로의 에너지를 주고 받는 두 배우의 모습을 (관객으로서) 보고 있으면, 경이로움을 넘어선 묘한 질투심과 소외감까지 느껴진다. 토드 헤인즈의 <메이 디셈버>가 그런 작품이었다.두 메인 캐릭터, ‘그레이시’와 ‘엘리자베스’를 연기하는 줄리앤 무어와 나탈리 포트먼은 단연코 이 영화의 '센터 피스 (centerpiece)' 다. 두 여배우의 아름다움을 떠나, 이들이 가진 저력과 영화의 후반부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드러나는 정교한 변신은 가히 연기 예술의 본체를 예시하는 스펙터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는 뉴욕타임즈의 1면을 장식하며 미국 사회를 들썩이게 했던 충격적인 사건의 주인공들인 ‘그레이시’(줄리안 무어)와 그보다 23살 어린 남편 ‘조’(찰스 멜튼)의 평온한 일상으로부터 시작된다. 여느 부부와도 같아 보이지만 사실 이들에겐 감추고자 하는 어두운 과거가 존재한다. 그레이시와 조는 그가 청소년이었던 13살 때 만나 교재를 시작했고 그녀는 이로 인해 청소년 성범죄로 감옥에 수감되었던 기간에 그의 첫 아이를 감옥에서 낳았던 것이다. 그레이시가 형을 마치고 이들은 합법적으로 결혼을 했고, 현재는 (나름) 평범한 결혼생활을 유지하려고 하는 중이다. 시간이 흘러, 이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영화가 기획되고, 영화에서 그레이시를 연기하게 된 배우 ‘엘리자베스’(나탈리 포트만)가 캐릭터 연구를 위해 그들의 집을 방문한다.
엘리자베스는 부부의 주변에 머물며 이들의 일상과 과거의 진실을 파헤치고자 한다. ‘진실’에 접근할 수록, 엘리자베스는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동시에 그레이시와 조 역시 이들 관계의 시작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처음으로 마주한다. 영화를 연출한 토드 헤인즈는 데뷔작인 <포이즌> (1991) 과 이후 작품인 <벨벳 골드마인> (1998) 같은 작품들로 뉴 퀴어 시네마의 선두에 섰다. <캐롤>을 포함한 그의 작품들은 현재까지도 성 정체성을 넘어, 인간의 정체성, 그리고 그것을 규정하는 제도와 규율을 첨예하고도 감각적으로 비판하거나 전복하는 재현에 중점을 둔다. 다음 주 개봉하는 헤인즈의 신작인 <메이 디셈버> 역시 그의 커리어적인 전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이번 작품은 범죄와 로맨스라는 양면의 외피를 가진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다. 헤인즈는 분명 창작자로서, 실제 사건의 논란성을 간과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영화는 마치 트루먼 카포티가 ‘인 콜드 블러드’를 집필 했을 때 그랬던 것처럼, 예술가의 야망과 기지를 냉정함과 적절히, 그리고 성공적으로 배합한다. 영화 속에서 헤인즈의 역할을 하는 인물은 바로 포트먼이 연기하는 엘리자베스다. 그녀는 사건을 기록하는 인물이자, 이들의 관계가 얼마나 ‘부도덕’하건 간에 이를 (부도덕한 관점이든 아니든) ‘예술적’으로 치환해야 하는 인물이다. 물론, 캐릭터 스터디에 능한 헤인즈는 엘리자베스라는 인물을 하나의 사건을 기능적으로 분석하고 행동에 옮기는 셜롬 홈즈형 캐릭터로 설정하진 않는다. 그녀는 세속적이지만 순수하고, 무해한듯 하지만 간교한 인물로 이 사건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여주는, 말하자면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할 수 밖에 없는 이 사건 자체의 가변성을 상징하는 인물인 것이다.
심오한 사건을 재현하는 영화에 있어 배우의 역량만큼 절실한 요소는 없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줄리앤 무어와 나탈리 포트먼은 영화의 무게를 감당하고도 남을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특히 영화에서 중요한 장치로 등장하는 거울을 마주하고 서로를 바라보는 메이크 업 시퀀스는 세기에 남을 예술적 자취이자 영화적 기록이다. 이 모든 자취와 기록을 극장의 큰 스크린으로 목도하는 일은 어쩌면 선택이 아니라 의무일 지도.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