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로봇용 OS 시장 출사표…"누구나 로봇 서비스 개발하는 오픈 생태계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이버가 로봇용 운영체제(OS)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세계 최초의 웹 플랫폼 기반 로봇 전용 OS ‘아크마인드’를 통해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로봇 확산을 주도하겠다는 목표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5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 중인 정보기술(IT) 전시회 LEAP 2024의 키노트 발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한다. 석 대표는 ‘미래 도시를 위한 테크 컨버전스’를 주제로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자율주행,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 네이버의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미래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을 소개할 예정이다.
LEAP는 사우디 정보통신기술부(MCIT)가 주관하는 사우디 최대 기술 전시회다. 지난해에는 183개국에서 17만명 이상이 방문했다. 네이버는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웹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빅테크 기업과 함께 메인 전시관에 부스를 마련했다. 아크마인드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가 합작해 구축한 웹 플랫폼 기반 로봇 전용 OS다. 네이버가 2021년 공개한 웨일OS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팀 네이버의 웹 플랫폼, OS, 로봇 기술이 집약됐다는 설명이다. 웹 개발자들과 로봇 서비스 개발을 연계해 로봇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는 목표로 개발했다. 네이버는 “웹 기반의 확장성 높은 개발 환경,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로봇 전용 웹 API,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크마인드는 기존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하는 것은 물론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웹 플러그인 기술로 로봇의 위치·움직임 제어, 판단이 필요한 자율주행 서비스 등을 웹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용 API를 제공한다. 도커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로봇 전용 기능도 선보인다. 기존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됐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ROS(로보틱스 OS)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API도 준비했다.
아키텍처를 단순화해 기존 로봇 OS보다 가볍고 OTA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도난당한 로봇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서버에서 CPU 온도, 스토리지 용량 제어 등도 가능하다.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특정 OS에 종속된 개발도구를 쓰지 않아도 웹 생태계에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웹 개발자도 로봇 전용 API, HTML, CSS 등을 통해 웹 표준에 맞춰 로봇 서비스를 개발하고 통합·확장할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글로벌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예약, 주문, 결제, 지도, 얼굴인식 등 최신 웹 앱을 필요에 따라 조합해 기존의 배달 로봇이 얼굴인식 결제 기능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할 수 있다. 로봇 제조사별로 특화된 앱을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없어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네이버는 전 세계 개발자를 위한 오픈 웹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우선 네이버 1784에서 운영 중인 로봇 서비스에 도입한 뒤 파트너십을 통해 확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W3C 웹 표준화 노력, 오픈소스 및 스토어 제공 등을 통해 오픈 생태계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삼성전자와 진행 중인 차세대 로봇 플랫폼 협력도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시스템온칩(SoC), 이미지 센서 등 반도체 솔루션과 네이버의 OS,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하나의 로봇 엣지 컴퓨팅 플랫폼에 통합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로봇 대중화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마크(IMARC) 그룹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46억달러(약 19조원) 수준으로 2028년까지 연평균 18.6% 성장해 435억달러(약 57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소프트뱅크는 독자적인 로봇 OS 나오키(NAoQI)를 개발해 로봇 제품인 페퍼에 탑재하고 있다. 아마존(로보메이커), 마이크로소프트(MSRDS,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메타(드로이델트) 등 빅테크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제공 중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5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 중인 정보기술(IT) 전시회 LEAP 2024의 키노트 발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한다. 석 대표는 ‘미래 도시를 위한 테크 컨버전스’를 주제로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자율주행,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 네이버의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미래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을 소개할 예정이다.
LEAP는 사우디 정보통신기술부(MCIT)가 주관하는 사우디 최대 기술 전시회다. 지난해에는 183개국에서 17만명 이상이 방문했다. 네이버는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웹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빅테크 기업과 함께 메인 전시관에 부스를 마련했다. 아크마인드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가 합작해 구축한 웹 플랫폼 기반 로봇 전용 OS다. 네이버가 2021년 공개한 웨일OS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팀 네이버의 웹 플랫폼, OS, 로봇 기술이 집약됐다는 설명이다. 웹 개발자들과 로봇 서비스 개발을 연계해 로봇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는 목표로 개발했다. 네이버는 “웹 기반의 확장성 높은 개발 환경,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로봇 전용 웹 API,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크마인드는 기존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하는 것은 물론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웹 플러그인 기술로 로봇의 위치·움직임 제어, 판단이 필요한 자율주행 서비스 등을 웹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용 API를 제공한다. 도커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로봇 전용 기능도 선보인다. 기존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됐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ROS(로보틱스 OS)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API도 준비했다.
아키텍처를 단순화해 기존 로봇 OS보다 가볍고 OTA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도난당한 로봇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서버에서 CPU 온도, 스토리지 용량 제어 등도 가능하다.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특정 OS에 종속된 개발도구를 쓰지 않아도 웹 생태계에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웹 개발자도 로봇 전용 API, HTML, CSS 등을 통해 웹 표준에 맞춰 로봇 서비스를 개발하고 통합·확장할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글로벌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예약, 주문, 결제, 지도, 얼굴인식 등 최신 웹 앱을 필요에 따라 조합해 기존의 배달 로봇이 얼굴인식 결제 기능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할 수 있다. 로봇 제조사별로 특화된 앱을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없어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네이버는 전 세계 개발자를 위한 오픈 웹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우선 네이버 1784에서 운영 중인 로봇 서비스에 도입한 뒤 파트너십을 통해 확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W3C 웹 표준화 노력, 오픈소스 및 스토어 제공 등을 통해 오픈 생태계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삼성전자와 진행 중인 차세대 로봇 플랫폼 협력도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시스템온칩(SoC), 이미지 센서 등 반도체 솔루션과 네이버의 OS,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하나의 로봇 엣지 컴퓨팅 플랫폼에 통합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로봇 대중화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마크(IMARC) 그룹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46억달러(약 19조원) 수준으로 2028년까지 연평균 18.6% 성장해 435억달러(약 57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소프트뱅크는 독자적인 로봇 OS 나오키(NAoQI)를 개발해 로봇 제품인 페퍼에 탑재하고 있다. 아마존(로보메이커), 마이크로소프트(MSRDS,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메타(드로이델트) 등 빅테크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제공 중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