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대비 민간부채 14분기째 '위험수위'…총부채 6000조 달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IS 신용 위험도 평가 분석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225.5%…15분기째 '200%대'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225.5%…15분기째 '200%대'
우리나라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수준이 14분기째 위험 수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72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장기간이다.
6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신용 갭은 지난해 3분기 말 10.5%포인트로, 2020년 2분기 말부터 줄곧 10%포인트를 웃돌고 있다. 신용 갭이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기업부채) 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보여주는 부채 위험 평가 지표다. 민간신용 비율의 상승 속도가 과거 추세보다 빠를수록 갭이 벌어진다. 현재 BIS는 잠재적인 국가별 신용위기를 가늠하는 데 이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용 갭은 지난 2017년 4분기 말(-2.9%포인트) 이후 상승 전환해 2019년 2분기 말(3.0%포인트) 주의 단계로 진입했다. 이후 가파르게 치솟으며 2020년 2분기 말 12.9%포인트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에 다다랐다. BIS는 신용 갭이 10%포인트를 초과하면 '경보' 단계, 2~10%포인트면 '주의' 단계, 2%포인트 미만이면 '보통' 단계로 각각 분류한다.
1년 뒤인 2022년 3분기 말 16.8%포인트를 기록한 후 신용 갭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10%포인트를 웃도는 상황이다. 이는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222.5%를 기록한 데 따른 결과다. 2020년 1분기 말(200%) 이후 비율은 15분기째 200%를 웃돌고 있다. 이 밖에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124%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가계·기업부채에 정부부채까지 더한 우리나라의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5988조191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9조8614억원 더 늘었다.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4분기 말 기준으로 사상 첫 6000조원을 돌파할 것이 유력해 보인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채 증가율 둔화 속도가 너무 느리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부동산발 금융위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
6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신용 갭은 지난해 3분기 말 10.5%포인트로, 2020년 2분기 말부터 줄곧 10%포인트를 웃돌고 있다. 신용 갭이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기업부채) 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보여주는 부채 위험 평가 지표다. 민간신용 비율의 상승 속도가 과거 추세보다 빠를수록 갭이 벌어진다. 현재 BIS는 잠재적인 국가별 신용위기를 가늠하는 데 이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용 갭은 지난 2017년 4분기 말(-2.9%포인트) 이후 상승 전환해 2019년 2분기 말(3.0%포인트) 주의 단계로 진입했다. 이후 가파르게 치솟으며 2020년 2분기 말 12.9%포인트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에 다다랐다. BIS는 신용 갭이 10%포인트를 초과하면 '경보' 단계, 2~10%포인트면 '주의' 단계, 2%포인트 미만이면 '보통' 단계로 각각 분류한다.
1년 뒤인 2022년 3분기 말 16.8%포인트를 기록한 후 신용 갭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10%포인트를 웃도는 상황이다. 이는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222.5%를 기록한 데 따른 결과다. 2020년 1분기 말(200%) 이후 비율은 15분기째 200%를 웃돌고 있다. 이 밖에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124%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가계·기업부채에 정부부채까지 더한 우리나라의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5988조191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9조8614억원 더 늘었다.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4분기 말 기준으로 사상 첫 6000조원을 돌파할 것이 유력해 보인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채 증가율 둔화 속도가 너무 느리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부동산발 금융위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