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울리는 보험사기 연 1조1000억 '역대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감원, 2023 보험사기 적발현황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1조1164억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1조1164억

금융감독원은 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보험사기 적발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유형별로는 사고 내용 조작이 59.3%(6616억원)로 가장 많았다. 이어 허위 사고 19.0%(2124억원), 고의 사고 14.3%(1600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대표적인 자동차 고의사고 보험사기로는 브로커가 11명의 지인과 공모해 다수의 운전자보험을 가입한 뒤 경미한 자동차 고의사고를 야기하고 5억6000만원의 보험금을 편취한 사례다.
보험사기 연령별 적발 인원은 50대(22.8%), 60대 이상(22.6%), 40대(20.1%), 30대(18.3%), 20대(14.9%), 10대 이하(1.3%) 순으로 많았다.
특히 30대(14.5%)와 40대(10.3%) 증가율이 평균 증가율(6.7%)을 웃돌았다. 20대는 자동차 관련 사기행위가 많았고 60대 이상에선 병원 관련 사기가 빈번했다.
금감원은 국민의 보험료 부담을 가중하는 민생 침해 보험사기에 강력히 대응하고 예방 교육, 홍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증가하는 렌터카를 이용한 고의사고에는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렌터카공제조합과 긴밀히 협조해 기획조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브로커와 병원이 연계된 조직형 보험사기에 대한 기획조사도 강화할 계획이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