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값 폭등에 농식품부 '초비상'…특단의 대책 내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일 가격 32년 만에 최고
농식품부, '비상대책반' 가동
농식품부, '비상대책반' 가동
과일 가격이 32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치솟은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가 ‘비상대책반’을 가동하기로 했다. 매일 대책 회의를 열고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물가를 점검하며 대책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현 수급상황실을 비상 수급안정대책반으로 즉시 개편해 가동한다고 6일 발표했다. 비상대책반은 식량정책실장이 주재하는 점검·대책 회의를 매일 열고 농축산물 수급 동향과 가공식품 물가 상황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번째 대책 회의를 주재했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도매시장법인, 대형마트 3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 차관은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과일·채소 가격을 잡기 위해 전방위적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까지 204억원을 투입해 사과와 대파 등 13개 품목의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할 예정이다. 유통업체 판매가격을 낮춰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겠다는 계획이다. 한 차관은 “할인지원 사업 예산도 대폭 늘려 전·평년 대비 30% 이상 가격이 상승한 모든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비상대책반 가동은 물가가 고공행진 하는 상황에서 농식품부가 내놓은 특단의 대책이라는 평가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룰은 3.1%로 나타났다. 지난 1월 ‘2%대 물가’(2.8%)를 기록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농식품부가 담당하는 품목군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지난달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2.8% 올라 1월(8.7%)보다 더 크게 올랐다. 아몬드를 제외한 과일류를 뜻하는 신선과실의 물가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41.2% 상승했다.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신선 채소도 12.3% 올라 지난해 3월(13.9%) 이후로 최대폭을 기록했다. 농식품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할인행사와 수입과일 확대 등 각종 조치를 실시하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비상대책반이 운영되면서 민간 업체에 대한 가격 인하 압박도 커질 전망이다. 한 차관은 이날 회의서 “국제 원료가격 하락분이 식품 가격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며 식품기업의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농식품부는 현 수급상황실을 비상 수급안정대책반으로 즉시 개편해 가동한다고 6일 발표했다. 비상대책반은 식량정책실장이 주재하는 점검·대책 회의를 매일 열고 농축산물 수급 동향과 가공식품 물가 상황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번째 대책 회의를 주재했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도매시장법인, 대형마트 3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 차관은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과일·채소 가격을 잡기 위해 전방위적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까지 204억원을 투입해 사과와 대파 등 13개 품목의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할 예정이다. 유통업체 판매가격을 낮춰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겠다는 계획이다. 한 차관은 “할인지원 사업 예산도 대폭 늘려 전·평년 대비 30% 이상 가격이 상승한 모든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비상대책반 가동은 물가가 고공행진 하는 상황에서 농식품부가 내놓은 특단의 대책이라는 평가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룰은 3.1%로 나타났다. 지난 1월 ‘2%대 물가’(2.8%)를 기록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농식품부가 담당하는 품목군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지난달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2.8% 올라 1월(8.7%)보다 더 크게 올랐다. 아몬드를 제외한 과일류를 뜻하는 신선과실의 물가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41.2% 상승했다.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신선 채소도 12.3% 올라 지난해 3월(13.9%) 이후로 최대폭을 기록했다. 농식품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할인행사와 수입과일 확대 등 각종 조치를 실시하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비상대책반이 운영되면서 민간 업체에 대한 가격 인하 압박도 커질 전망이다. 한 차관은 이날 회의서 “국제 원료가격 하락분이 식품 가격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며 식품기업의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