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통신 삼국지 지형…1위 SKT 점유율 '흔들' [정지은의 산업노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위' SKT 점유율 40%도 간당
통신지형 달라졌다
LG유플러스 0.2%p 차로 2위
SKT 점유율 44%→42.9%→40.4%
굳건했던 5대3대2 체제 무너져
한동안 4대3대3 지형 이어질 전망
통신지형 달라졌다
LG유플러스 0.2%p 차로 2위
SKT 점유율 44%→42.9%→40.4%
굳건했던 5대3대2 체제 무너져
한동안 4대3대3 지형 이어질 전망

7일 LG유플러스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무선서비스 시장 점유율(총 회선 기준)은 SK텔레콤 40.4%, LG유플러스 29.9%, KT 29.7%를 기록했다. ‘4대 3대 3’ 구조가 된 셈이다. SK텔레콤이 점유율 40%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까지 떨어진 것과 2·3위 자리가 바뀐 게 주요 변화로 꼽힌다.
![달라진 통신 삼국지 지형…1위 SKT 점유율 '흔들' [정지은의 산업노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051824.1.jpg)
상대적으로 KT는 기존 점유율을 유지, LG유플러스가 눈에 띄게 점유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확고한 ‘5대3대2’ 구도였던 2015년 3월에도 KT의 점유율은 30.5%였다. 같은 시기 LG유플러스 점유율은 20%였다. 지난해 말 점유율과 비교하면 KT는 0.8%포인트 감소해 변동이 크지 않다. LG유플러스는 같은 기간 9.9%포인트 오르며 2위를 차지하게 됐다.
LG유플러스가 무선서비스 총 회선 수를 기준으로 KT를 따라잡은 것은 기정사실화된 부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매월 발표하는 통계에서 꾸준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다만 해당 점유율이 무선서비스를 상징하는 휴대폰 영역만이 아닌 사물지능통신까지 포함한 것이라는 부분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과기정통부는 이달부터 휴대폰과 사물지능통신의 총계를 내지 않고 별도 구분해 표기한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선 추후 SK텔레콤의 점유율이 40% 밑으로 내려가면 시장지배적사업자 지위 해제 명분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점유율은 정부 규제를 받는 시장지배적사업자 지위를 결정하는 판단 기준 중 하나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