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점유율 40% 턱걸이…더 팽팽해진 '통신 삼국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말 SKT 점유율 40.4%
LG유플 29.9%·KT 29.7%
4대 3대 3 구도로 시장 재편
LG유플 29.9%·KT 29.7%
4대 3대 3 구도로 시장 재편
통신업계 부동의 1위로 꼽히던 SK텔레콤이 점유율 40%대에 턱걸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는 0.2%포인트 차이로 KT를 앞서 2위에 올랐다. 수년간 ‘5 대 3 대 2’로 굳어 있던 무선통신서비스 시장 지형이 지난해를 기점으로 크게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 LG유플러스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무선서비스 시장 점유율(총회선 기준)은 SK텔레콤 40.4%, LG유플러스 29.9%, KT 29.7%를 기록했다. ‘4 대 3 대 3’ 구조가 된 것이다. SK텔레콤의 점유율이 40%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까지 떨어진 것과 2·3위 자리가 바뀐 게 주요 변화로 꼽힌다.
SK텔레콤의 점유율은 2021년 12월 44%에서 2022년 12월 42.9%, 지난해 12월 40.4%로 줄곧 내림세다. 2015년 2월까지만 해도 이 회사의 점유율은 50%를 넘었다. 알뜰폰 시장이 커지면서 빠져나간 이용자가 상당했다는 분석이다.
KT는 기존 점유율을 유지했고, LG유플러스는 눈에 띄게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확고한 ‘5 대 3 대 2’ 구도이던 2015년 3월과 지난해 말을 비교하면 KT는 0.8%포인트 감소해 제자리를 유지했고, LG유플러스는 9.9%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이 점유율은 휴대폰만이 아니라 사물 지능통신까지 포함한 것이다. 수익성 측면에선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이나 KT에 미치지 못한다.
업계 관계자는 “4 대 3 대 3 형태로 바뀐 지형이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라며 “통신 3사 중 어느 곳도 마케팅 비용을 크게 투입하면서 가입자를 유치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SK텔레콤의 점유율이 40% 밑으로 내려가면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 해제 명분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점유율은 정부 규제를 받는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결정하는 판단 기준 중 하나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7일 LG유플러스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무선서비스 시장 점유율(총회선 기준)은 SK텔레콤 40.4%, LG유플러스 29.9%, KT 29.7%를 기록했다. ‘4 대 3 대 3’ 구조가 된 것이다. SK텔레콤의 점유율이 40%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까지 떨어진 것과 2·3위 자리가 바뀐 게 주요 변화로 꼽힌다.
SK텔레콤의 점유율은 2021년 12월 44%에서 2022년 12월 42.9%, 지난해 12월 40.4%로 줄곧 내림세다. 2015년 2월까지만 해도 이 회사의 점유율은 50%를 넘었다. 알뜰폰 시장이 커지면서 빠져나간 이용자가 상당했다는 분석이다.
KT는 기존 점유율을 유지했고, LG유플러스는 눈에 띄게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확고한 ‘5 대 3 대 2’ 구도이던 2015년 3월과 지난해 말을 비교하면 KT는 0.8%포인트 감소해 제자리를 유지했고, LG유플러스는 9.9%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이 점유율은 휴대폰만이 아니라 사물 지능통신까지 포함한 것이다. 수익성 측면에선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이나 KT에 미치지 못한다.
업계 관계자는 “4 대 3 대 3 형태로 바뀐 지형이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라며 “통신 3사 중 어느 곳도 마케팅 비용을 크게 투입하면서 가입자를 유치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SK텔레콤의 점유율이 40% 밑으로 내려가면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 해제 명분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점유율은 정부 규제를 받는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결정하는 판단 기준 중 하나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