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연봉 2억5000만원'…대통령만큼 받는 공무원 나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주청 본부장 연봉 2.5억 추진

총리보다 5000만원↑ ‘파격 대우’
이날 정부와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정부는 새로 신설될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1급)에 연 2억5000만원 상당의 급여를 지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논의 중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가 연 2억5000만원을 기준으로 놓고 최종 급여액을 논의 중인 단계”라고 전했다.정부가 지급을 검토 중인 연 2억5000만원 상당의 급여는 공무원 신분으로는 파격적인 수준이다. 1급 공무원이 올해 윤 대통령이 받을 급여(2억5494만3000원)와 비슷한 월급을 받기 때문이다. 한덕수 국무총리(1억9763만600원)뿐 아니라 차관급인 우주항공청장(1억4144만3000원)보다도 연봉이 1억원 더 많다.

백지신탁 예외·외국 국적 임용 허용
파격적인 급여 조건을 내세운 만큼 우수 인력이 실제로 모일지에도 관심이 모인다. 우주항공청 설립은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국정과제 중 하나다. 지난 1월 우주항공청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정부는 우주항공청을 미국 나사와 같은 기관으로 키워 국가 우주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에 영문 이름도 '카사'(KASA·Korea Aero Space Administration)로 지었다.
청장을 제외한 우주항공청 연구원에 외국인과 복수국적자 임용을 허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13년 미국 국적 소지 논란으로 자진 사퇴한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초대 청장인 만큼 우주 산업에 이해가 높은 전문가를 중심으로 인사를 물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