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닻올린 신세계 정용진號…"강력한 리더십으로 정면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8년 만에 회장 승진
정 회장, 사장단 회의 첫 주재
이마트 첫 적자 등 실적 뒷걸음에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 강화하고
온라인 쇼핑서도 대반격 나설 듯
정 회장 추가 지분 증여 가능성도
일각 "이마트-신세계 계열분리"
정 회장, 사장단 회의 첫 주재
이마트 첫 적자 등 실적 뒷걸음에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 강화하고
온라인 쇼핑서도 대반격 나설 듯
정 회장 추가 지분 증여 가능성도
일각 "이마트-신세계 계열분리"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56)이 8일 회장으로 승진했다. 2006년 부회장에 오른 이후 18년 만이다. 주력 계열사인 이마트가 창사 이후 첫 적자를 내는 등 그룹이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정 회장 승진을 계기로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유통업계에선 정 회장이 ‘원톱’으로 대대적 혁신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신세계그룹은 이날 인사와 관련, “유통 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쏟아지고 있어 그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며 “정용진 회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바뀌는 환경을 정면 돌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비상 상황’에 처해 있다. 최근 몇 년 새 온라인 쇼핑이 급성장해 주력 사업인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의 시장을 급속히 잠식당했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해 30조원 가까운 매출에도 창사 이후 첫 적자를 낼 만큼 현금창출 능력이 약화됐다. 온·오프라인 경쟁 격화로 마진을 남길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쿠팡은 생활용품에서 시작해 화장품과 패션, 명품까지 판매하며 신세계그룹의 영역으로 침투하고 있다. 쿠팡의 작년 매출은 31조원을 넘어서 이마트 매출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여기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의 초저가 공세까지 더해졌다.
신세계그룹이 정 회장 승진 인사 배경으로 ‘빠르게 바뀌는 환경’을 꼽은 것도 이 때문이다. 신세계는 정 회장을 중심으로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고, 그룹의 온라인몰인 쓱닷컴과 2021년 인수한 G마켓을 통해 쿠팡, 알리, 테무 등의 공세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대응 방안이 하나씩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 회장의 승진이 ‘상징적 조치’란 해석도 있다. 부회장 때부터 그룹을 대표하는 행사에는 어김없이 정 회장이 나섰기 때문이다. 이번에 승진하긴 했지만, 정 회장이 이마트가 지배하는 계열사 위주로 경영한다는 점에선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정 회장 모친인 이명희 회장(81)이 총괄회장을 맡으면서도 정유경 총괄사장(52) 지위는 그대로 유지한 것도 주목을 끈다. 백화점 중심의 계열사들은 정 총괄사장이 계속 맡아서 경영한다.
정 회장과 정 총괄사장은 각각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8.56%씩 보유하고 있다. 이 총괄회장의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율은 각각 10%다. 이 때문에 향후 정 회장의 실질적인 지배력 강화를 위한 추가 지분 증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일각에선 이마트와 신세계의 계열분리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 총괄회장이 이마트 지분 10%를 정 회장에게, 신세계 지분 10%를 정 총괄사장에게 증여하면 지분 구조상 계열 분리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계열분리 가능성은 당분간 없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강력한 리더십 필요”
정 회장은 이날 인사 이후 서울 테헤란로 센터필드에서 사장단 회의를 주재했다. 정 회장은 “18년 동안 부회장으로 했던 일을 계속할 뿐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신세계그룹은 이날 인사와 관련, “유통 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쏟아지고 있어 그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며 “정용진 회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바뀌는 환경을 정면 돌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비상 상황’에 처해 있다. 최근 몇 년 새 온라인 쇼핑이 급성장해 주력 사업인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의 시장을 급속히 잠식당했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해 30조원 가까운 매출에도 창사 이후 첫 적자를 낼 만큼 현금창출 능력이 약화됐다. 온·오프라인 경쟁 격화로 마진을 남길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쿠팡은 생활용품에서 시작해 화장품과 패션, 명품까지 판매하며 신세계그룹의 영역으로 침투하고 있다. 쿠팡의 작년 매출은 31조원을 넘어서 이마트 매출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여기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의 초저가 공세까지 더해졌다.
신세계그룹이 정 회장 승진 인사 배경으로 ‘빠르게 바뀌는 환경’을 꼽은 것도 이 때문이다. 신세계는 정 회장을 중심으로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고, 그룹의 온라인몰인 쓱닷컴과 2021년 인수한 G마켓을 통해 쿠팡, 알리, 테무 등의 공세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대응 방안이 하나씩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경 사장 역할은 그대로
정 회장의 승진으로 신세계그룹이 ‘정용진 체제’로의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신세계그룹은 작년부터 정 부회장의 회장 승진을 위한 정지 작업에 나섰다. 9월 계열사 대표 40% 교체가 신호탄이었다. 11월엔 정 회장의 참모 조직인 ‘경영전략실’도 8년 만에 개편했다.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재편해 빠른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했다. 정 회장은 경영전략실 인사를 주도하며 그룹 장악력을 높였다.정 회장의 승진이 ‘상징적 조치’란 해석도 있다. 부회장 때부터 그룹을 대표하는 행사에는 어김없이 정 회장이 나섰기 때문이다. 이번에 승진하긴 했지만, 정 회장이 이마트가 지배하는 계열사 위주로 경영한다는 점에선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정 회장 모친인 이명희 회장(81)이 총괄회장을 맡으면서도 정유경 총괄사장(52) 지위는 그대로 유지한 것도 주목을 끈다. 백화점 중심의 계열사들은 정 총괄사장이 계속 맡아서 경영한다.
정 회장과 정 총괄사장은 각각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8.56%씩 보유하고 있다. 이 총괄회장의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율은 각각 10%다. 이 때문에 향후 정 회장의 실질적인 지배력 강화를 위한 추가 지분 증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일각에선 이마트와 신세계의 계열분리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 총괄회장이 이마트 지분 10%를 정 회장에게, 신세계 지분 10%를 정 총괄사장에게 증여하면 지분 구조상 계열 분리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계열분리 가능성은 당분간 없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