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OS 선점"…네이버, 신시장으로 진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체 개발 '웨일OS' 활용한 '아크마인드'
사우디 리야드서 열린 IT 전시회에서 공개
웹 생태계의 SW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 직접 제어
배송·청소·감시 등 이동형 로봇에 우선 적용
로봇팔 같은 조작형 로봇으로 적용 범위 확장
사우디 리야드서 열린 IT 전시회에서 공개
웹 생태계의 SW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 직접 제어
배송·청소·감시 등 이동형 로봇에 우선 적용
로봇팔 같은 조작형 로봇으로 적용 범위 확장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웹 플랫폼 기반 운영체제(OS) ‘웨일OS’를 활용한 ‘아크마인드’로 로봇용 OS 시장에 진출한다. 웹 서비스와 호환된다는 점을 무기로 형성 초기 단계인 로봇 OS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OS는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부팅 기능과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소프트웨어와 차이가 있다. 네이버는 2017년 오픈소스 기반 웹브라우저인 웨일 브라우저를 선보였고, 2021년에는 PC용 웨일OS를 내놨다. 아크마인드는 웨일OS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네이버는 “주로 PC, 스마트폰 중심의 기존 웹 플랫폼 기반 OS는 물리 공간에서 인지, 이동, 동작 등을 수행하는 로봇의 특수성과 하드웨어를 반영하기 어려웠다”며 “아크마인드는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하고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로봇에 최적화된 웹 앱 개발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아크마인드는 웹 플러그인 기술을 활용해 로봇의 위치·움직임 제어, 판단이 필요한 자율주행 서비스 등을 웹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용 API를 제공한다. 도커(docker)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로봇 전용 기능도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ROS(로봇OS)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API도 나온다.
아크마인드의 장점은 기존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약, 주문, 결제, 지도, 얼굴 인식 등 웹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조합해 로봇에 설치하면 기존의 배달 로봇이 얼굴 인식 결제와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처럼 무선 업데이트(OTA)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다. 로봇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다양한 기능도 포함된다. 도난 당한 로봇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서버에서 중앙처리장치(CPU) 온도 및 스토리지 용량을 제어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네이버는 특정 OS에 구애받지 않고 웹 생태계에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을 아크마인드의 가장 큰 차별화 포인트로 꼽았다. 백 책임리더는 “전 세계의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자사 로봇을 시작으로 파트너십을 통해 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을 통한 웹 표준화, 오픈소스·스토어 제공 등을 추진해 오픈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웹 개발자를 로봇 생태계로 유인하기 위해 테스트용 로봇 등도 제공한다. 시장조사업체 아이마크그룹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146억달러(약 19조원) 수준이다. 2028년까지 연평균 18.6% 성장해 435억달러(약 57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네이버는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웨일 브라우저상에서 모아 제공하는 오픈형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와 교육용 디바이스 ‘웨일북’을 잇달아 선보였다. 기업용(B2B) 시장에서도 맞춤형 브라우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시험에 쓸 수 있는 ‘평가용 브라우저’를 시작으로 지난해 기업·기관 전용 브라우저인 ‘웨일 엔터프라이즈’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네이버는 노트북, 전자칠판 등 교육용 디바이스는 물론 키오스크, 자동차 등 다양한 환경에서 웨일OS를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필요한 소프트웨어 로봇에 설치
네이버는 지난 5~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정보기술(IT) 전시회 ‘LEAP 2024’에서 아크마인드를 공개했다.OS는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부팅 기능과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소프트웨어와 차이가 있다. 네이버는 2017년 오픈소스 기반 웹브라우저인 웨일 브라우저를 선보였고, 2021년에는 PC용 웨일OS를 내놨다. 아크마인드는 웨일OS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네이버는 “주로 PC, 스마트폰 중심의 기존 웹 플랫폼 기반 OS는 물리 공간에서 인지, 이동, 동작 등을 수행하는 로봇의 특수성과 하드웨어를 반영하기 어려웠다”며 “아크마인드는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하고 다수의 이기종 로봇 하드웨어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로봇에 최적화된 웹 앱 개발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아크마인드는 웹 플러그인 기술을 활용해 로봇의 위치·움직임 제어, 판단이 필요한 자율주행 서비스 등을 웹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용 API를 제공한다. 도커(docker)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로봇 전용 기능도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ROS(로봇OS)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API도 나온다.
아크마인드의 장점은 기존 웹 생태계의 소프트웨어를 로봇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약, 주문, 결제, 지도, 얼굴 인식 등 웹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조합해 로봇에 설치하면 기존의 배달 로봇이 얼굴 인식 결제와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처럼 무선 업데이트(OTA)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다. 로봇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다양한 기능도 포함된다. 도난 당한 로봇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서버에서 중앙처리장치(CPU) 온도 및 스토리지 용량을 제어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 개발”
네이버는 사옥에서 운용 중인 자율주행 로봇 ‘루키’와 같은 이동형 로봇에 아크마인드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백종윤 네이버랩스 책임리더는 “배송, 청소, 감시 등 이동 기능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형 로봇에 아크마인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추후 로봇팔과 같은 조작형 로봇으로 범위를 넓히려 한다”고 설명했다.네이버는 특정 OS에 구애받지 않고 웹 생태계에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을 아크마인드의 가장 큰 차별화 포인트로 꼽았다. 백 책임리더는 “전 세계의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자사 로봇을 시작으로 파트너십을 통해 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을 통한 웹 표준화, 오픈소스·스토어 제공 등을 추진해 오픈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웹 개발자를 로봇 생태계로 유인하기 위해 테스트용 로봇 등도 제공한다. 시장조사업체 아이마크그룹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146억달러(약 19조원) 수준이다. 2028년까지 연평균 18.6% 성장해 435억달러(약 57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키오스크, 자동차 등으로 웨일OS 확대
네이버는 아크마인드의 기반이 된 웨일OS를 로봇은 물론 다양한 분야로 확장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웹 플랫폼 기술은 특정 기기나 OS의 제약을 받지 않아 디스플레이와 네트워크만 있다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네이버는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웨일 브라우저상에서 모아 제공하는 오픈형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와 교육용 디바이스 ‘웨일북’을 잇달아 선보였다. 기업용(B2B) 시장에서도 맞춤형 브라우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시험에 쓸 수 있는 ‘평가용 브라우저’를 시작으로 지난해 기업·기관 전용 브라우저인 ‘웨일 엔터프라이즈’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네이버는 노트북, 전자칠판 등 교육용 디바이스는 물론 키오스크, 자동차 등 다양한 환경에서 웨일OS를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