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최대 리스크는…MZ세대 '개인정보'·시니어 '신종 질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개발원, ‘세대별 사회 안전 및 환경 의식’ 발표
젊은 세대는 개인정보 유출을, 시니어 세대는 신종 질병을 각각 한국 사회의 최대 리스크로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는 Z세대가 M 세대보다 높았다.
11일 통계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대별 사회 안전 및 환경 의식’을 발표했다. 통계개발원은 오는 25일 발간되는 KOSTAT 통계플러스 2024년 봄호에 같은 내용을 게재할 예정이다. 통계개발원은 Z세대를 1995~2005년생으로, M 세대를 1980~1994년생으로, X세대를 1964~1979년생으로, 베이비붐세대를 1955~1963년생으로, 시니어세대를 1954년생 이전으로 각각 분류했다. 세대 정의 시점은 2020년으로 설정됐다. 2022년 사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한국 사회 안전 전반에 대해 모든 세대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단 Z세대(51.1%)와 M 세대(59.6%), X세대(53.4%)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베이비붐세대(57.3%)와 시니어세대(60.1%)는 신종 질병에 대해 각각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을 꼽아달라는 질문엔 Z세대를 제외한 모든 세대가 ‘신종 질병’을 골랐다. Z세대는 범죄 문제를 한국 사회의 최대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Z세대와 M 세대는 범죄와 경제적 위험을,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는 경제적 위험과 국가안보를 각각 한국 사회의 선순위 불안 요인으로 선택했다. 시니어세대는 국가안보와 범죄가 차순위 불안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국가안보를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고른 비율은 Z세대(13.0%)가 M 세대(10.5%)보다 더 높았다.
환경 문제의 경우 모든 세대에서 기후변화(45.9%)와 미세먼지(64.6%)에 대한 불안감이 높았다.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은 X세대(69.0%)에게서 가장 높았고 시니어세대(57.0%)와 Z세대(59.8%)에게선 비교적 낮았다.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불안은 M 세대(47.8%)와 X세대(47.7%), 베이비붐세대(43.0%)에서 40%를 상회했다.
박상영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장은 “본 연구가 MZ세대를 깊이 이해하고 사회 안전과 환경 정책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11일 통계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대별 사회 안전 및 환경 의식’을 발표했다. 통계개발원은 오는 25일 발간되는 KOSTAT 통계플러스 2024년 봄호에 같은 내용을 게재할 예정이다. 통계개발원은 Z세대를 1995~2005년생으로, M 세대를 1980~1994년생으로, X세대를 1964~1979년생으로, 베이비붐세대를 1955~1963년생으로, 시니어세대를 1954년생 이전으로 각각 분류했다. 세대 정의 시점은 2020년으로 설정됐다. 2022년 사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한국 사회 안전 전반에 대해 모든 세대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단 Z세대(51.1%)와 M 세대(59.6%), X세대(53.4%)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베이비붐세대(57.3%)와 시니어세대(60.1%)는 신종 질병에 대해 각각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을 꼽아달라는 질문엔 Z세대를 제외한 모든 세대가 ‘신종 질병’을 골랐다. Z세대는 범죄 문제를 한국 사회의 최대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Z세대와 M 세대는 범죄와 경제적 위험을,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는 경제적 위험과 국가안보를 각각 한국 사회의 선순위 불안 요인으로 선택했다. 시니어세대는 국가안보와 범죄가 차순위 불안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국가안보를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고른 비율은 Z세대(13.0%)가 M 세대(10.5%)보다 더 높았다.
환경 문제의 경우 모든 세대에서 기후변화(45.9%)와 미세먼지(64.6%)에 대한 불안감이 높았다.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은 X세대(69.0%)에게서 가장 높았고 시니어세대(57.0%)와 Z세대(59.8%)에게선 비교적 낮았다.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불안은 M 세대(47.8%)와 X세대(47.7%), 베이비붐세대(43.0%)에서 40%를 상회했다.
박상영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장은 “본 연구가 MZ세대를 깊이 이해하고 사회 안전과 환경 정책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