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독무대…크리스토퍼 놀런이 휩쓴 오스카상 시상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 96회 아카데미상 시상식
13개 부문 후보 오펜하이머
핵무기 개발의 빛과 그림자
천재 과학자의 인간적 고뇌 담아
작품·감독·편집상 등 7관왕
'가여운 것들' 에마 스톤
라라랜드 이어 두 번째 '퀸'
13개 부문 후보 오펜하이머
핵무기 개발의 빛과 그림자
천재 과학자의 인간적 고뇌 담아
작품·감독·편집상 등 7관왕
'가여운 것들' 에마 스톤
라라랜드 이어 두 번째 '퀸'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96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펜하이머’는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남우주연·남우조연·편집·음악·촬영감독상을 받았다. 총 23개 수상 부문 중 주요 트로피를 싹쓸이하며 지난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이어 2년 연속 7관왕 기록을 세웠다.

7개상 ‘싹쓸이’…오펜하이머 잔칫상
예상된 결과였다. 당초 영화계에선 13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오펜하이머’가 2004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이후 20년째 미답인 11관왕 고지에 오를 수 있을지가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오펜하이머’는 이날 초반 여우조연·각색상을 연달아 놓치고, 미술·분장·의상상도 ‘가여운 것들’에 내주며 고전했지만 후반부 주요 상을 휩쓸었다.복잡한 플롯, 컬러와 흑백을 오가는 구성, 물리학을 시각화하는 방식 등 수준 높은 작품성과 상업적 성공이라는 영화의 특성이 아카데미 코드에 들어맞았다. 봉준호 감독이 “로컬 영화제”라는 뼈 있는 농담을 던진 것처럼, 아카데미는 미국·백인 위주의 보수적이고, 정치성 강한 시상식으로 유명하다. 이를 의식한 듯 최근 여성(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2023), 아시아(기생충·2019), 성소수자(문라이트·2017) 등에 문호를 개방했지만, 복잡한 국제 정세가 얽히고설킨 올해는 미국적 영웅서사를 가진 ‘오펜하이머’를 지나칠 수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놀런, 마침내 감독상 수상
올해 가장 눈길을 끈 지점은 단연 놀런의 감독상 수상이다. 놀런은 ‘인셉션’(2010), ‘인터스텔라’(2014) 등을 연출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감독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지만, 유독 오스카상과 인연이 없었다. 2018년 ‘덩케르크’도 수상이 불발됐다. 놀런 감독은 “100년 역사의 아카데미와 놀라운 여정을 함께해 감사하다”고 말했다.에마 스톤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가여운 것들’로 생애 두 번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네 번째 연기 호흡을 맞추며 란티모스의 ‘뮤즈’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영화·애니 반짝 선전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는 작품상과 각본상에 이름을 올렸지만 아쉽게도 ‘오펜하이머’와 ‘추락의 해부’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유승목 기자 moki912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