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시장 구글 되겠다"…LG, 플랫폼 승부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어로보틱스 최대주주로
구글 안드로이드·애플 iOS처럼
로봇 표준 운영체제 선점 나서
MS·네이버 등 글로벌 패권 경쟁
수백兆 시장 놓고 합종연횡 '속도'
구글 안드로이드·애플 iOS처럼
로봇 표준 운영체제 선점 나서
MS·네이버 등 글로벌 패권 경쟁
수백兆 시장 놓고 합종연횡 '속도'
테슬라가 도요타와 폭스바겐을 제치고 시가총액 세계 1위(5661억달러) 자동차기업이 된 것은 멋진 외관의 차를 생산해서가 아니다. 일등공신은 풀셀프드라이빙(FSD)이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다. 운전석 중앙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터치만으로 차의 모든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하는 운영체제(OS)도 ‘테슬라 천하’에 힘을 보탰다.
최근 글로벌 로봇산업에서 벌어지는 경쟁 양상도 자동차와 비슷하다. 로봇 제조 시장을 장악한 건 중국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 로봇 시장에 뛰어든 글로벌 테크기업의 눈은 다른 데 가 있다. 로봇용 OS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시장이다. 로봇이 손가락을 좀 더 정교하게 구부릴 수 있게 하고, 가야 할 곳에 빠른 속도로 도달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게 글로벌 로봇 시장의 패권을 결정할 열쇠가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때마침 LG전자 눈에 들어온 게 베어로보틱스다. 이 회사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봇 관련 스타트업이다. 서빙 기능에 특화된 배송 로봇을 앞세워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 제어 기술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와 협업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예컨대 화물 배송 로봇을 제조하는 A사, 서빙 로봇에 특화된 B사 등에 LG전자가 로봇용 소프트웨어를 구독형으로 제공해 매달 ‘구독료’를 받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중장기적으론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용 소프트웨어의 표준을 제시해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 OS 같은 영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MS, 구글, 아마존 같은 빅테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든 이유다. 이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제공해 영향력을 강화하려고 한다. MS의 ‘MSRDS’와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의 ‘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아마존의 ‘로보메이커’, 메타의 ‘드로이드렛’ 등이 대표적인 로봇 SW 개발 도구다.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역할을 하는 OS 개발 경쟁도 치열하다. 소프트뱅크는 자체 OS ‘NAoQI’를 개발해 공개했다. 아마존, MS 등도 OS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로봇업계 관계자는 “로봇의 핵심은 사람처럼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며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백조원대 로봇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로봇기업 간 합종연횡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최근 글로벌 로봇산업에서 벌어지는 경쟁 양상도 자동차와 비슷하다. 로봇 제조 시장을 장악한 건 중국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 로봇 시장에 뛰어든 글로벌 테크기업의 눈은 다른 데 가 있다. 로봇용 OS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시장이다. 로봇이 손가락을 좀 더 정교하게 구부릴 수 있게 하고, 가야 할 곳에 빠른 속도로 도달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게 글로벌 로봇 시장의 패권을 결정할 열쇠가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SW 중심 로봇 시대 온다”
LG전자가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약 785억원)를 투자해 최대주주에 올라서겠다”고 12일 발표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LG전자는 경북 구미 생산라인에서 ‘LG 클로이’ 로봇을 제조해 국내 공항 호텔 레스토랑 병원 등에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로봇 시장의 궁극적인 승부처는 소프트웨어 역량이라고 판단했다.때마침 LG전자 눈에 들어온 게 베어로보틱스다. 이 회사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봇 관련 스타트업이다. 서빙 기능에 특화된 배송 로봇을 앞세워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 제어 기술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와 협업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예컨대 화물 배송 로봇을 제조하는 A사, 서빙 로봇에 특화된 B사 등에 LG전자가 로봇용 소프트웨어를 구독형으로 제공해 매달 ‘구독료’를 받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중장기적으론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용 소프트웨어의 표준을 제시해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 OS 같은 영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빅테크도 뛰어든 SW 개발 경쟁
로봇 전용 소프트웨어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다. 세계에 AI 기반 서비스 로봇이 공급되면서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2023년 135억달러(약 17조6800억원) 수준이던 로봇용 소프트웨어 시장은 2032년 800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MS, 구글, 아마존 같은 빅테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든 이유다. 이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제공해 영향력을 강화하려고 한다. MS의 ‘MSRDS’와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의 ‘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아마존의 ‘로보메이커’, 메타의 ‘드로이드렛’ 등이 대표적인 로봇 SW 개발 도구다.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역할을 하는 OS 개발 경쟁도 치열하다. 소프트뱅크는 자체 OS ‘NAoQI’를 개발해 공개했다. 아마존, MS 등도 OS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로봇업계 관계자는 “로봇의 핵심은 사람처럼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며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백조원대 로봇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로봇기업 간 합종연횡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