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니피센트 7은 잊어라…'일렉트릭 11'이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12250.1.jpg)
○매그니피센트 7 동반 상승은 끝나
12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에버코어 ISI의 수석 테크 애널리스트인 마크 마하니는 최근 고객에게 보낸 메모에서 “일렉트릭 11이 매그니피센트 7을 대신할 수 있다”고 전했다. 대형 기술주인 알파벳, 아마존, 메타를 비롯해 플랫폼 기업인 넷플릭스(영화·드라마), 스포티파이(음악), 에어비앤비(숙박), 부킹 홀딩스(여행), 도어대시(음식 배달), 쇼피파이(전자상거래), 더 트레이드 데스크(광고), 우버(모빌리티) 등 11개 기업이 해당한다.![에버코어 ISI의 '일렉트릭 11'(사진=CNBC)](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12254.1.png)
마하니 애널리스트는 매그니피센트 7 종목이 모두 상승하는 장세는 끝났다고 지적했다. 중국 시장 부진으로 기업 실적이 하락한 애플과 테슬라 때문이다. 애플은 중국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하는 추세고, 테슬라는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의 저가 공세에 압박받고 있다. 애플 주가는 올들어 6.68%, 테슬라 주가는 28.53% 떨어졌다.
대신에 마하니는 월가의 대표적인 투자회사들과 의견을 같이하며 매그니피센트 7 중 아마존, 알파벳, 메타를 일렉트릭 11에 포함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메타에 대해 투자의견을 낸 74곳 중 86.5%(64곳)가 매수의견을 냈다. 브라이언 노왁 모건 스탠리 연구원 역시 지난 11일 메타에 대해 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사진=AP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12252.1.jpg)
알파벳은 생성 인공지능(AI)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보다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아 투자 매력이 높다. 알파벳의 12개월 선행 PER은 20.1배로 약 37배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절반 수준이다. 아마존과 메타는 올해 각각 16.9%, 44.3% 상승했지만 알파벳 주가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장악력 높은 플랫폼 기업 유망
마하니 애널리스트는 시장 지배력이 높은 플랫폼 기업의 성장성에 주목했다. 항공, 숙박 예약 사이트 ‘부킹닷컴’ 운영사 부킹 홀딩스의 경우 지난달 실적발표에서 시장 기대보다 낮은 1분기 실적 전망치를 발표하며 주가가 소폭 하락했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에런 케슬러 시포트 리서치 애널리스트 역시 “부킹닷컴은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더 많은 트래픽을 유도해 이익을 키웠다”며 “올해와 내년 예약 증가율이 각각 10%, 9%에 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킹 홀딩스의 PER은 약 20배, 올들어 주가 상승률은 0.5%에 불과하다.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12251.1.jpg)
이외에 광고 캠페인 생성·관리·최적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광고 플랫폼 더 트레이드 데스크, 매년 가입 고객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고 있는 음악 플랫폼 스포티파이, 대표적인 콘텐츠 플랫폼 넷플릭스도 일렉트릭 11 목록에 올랐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