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덕신하우징 회장 "건자재 日 진출 13년 걸려…이젠 튀르키예 시장 뚫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자재 데크플레이트 국내 1위
약속 꼭 지키고 한발 더 뛴 결과
해외 시장서 성장돌파구 모색
美에 생산공장…'1조 클럽' 목표
약속 꼭 지키고 한발 더 뛴 결과
해외 시장서 성장돌파구 모색
美에 생산공장…'1조 클럽' 목표

지붕 바닥재인 데크플레이트 국내 1위 업체인 덕신하우징을 창업한 김명환 회장(사진)은 올해 73세다. 그는 지난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마지막 경영 목표는 80세 전에 매출 1조원대 회사로 키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공사기일 반드시 지킨 ‘신뢰경영’

이 회사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와 통상적인 일체형 데크플레이트까지 전체 라인업을 모두 갖춘 유일한 기업이다. 지난해 몇몇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무량판 구조의 천장이 무너진 것도 이런 데크플레이트를 쓰지 않아서다.
김 회장은 “건자재 하중을 고려해 지붕 바닥재를 탄탄하게 깔아야 한다”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외관상 깔끔한 것은 물론 건설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게 데크플레이트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량판 구조여도 철빔을 설계대로 심으면 문제가 없지만 여러 곳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며 “안전을 위해서라도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게 좋다”고 했다.
ADVERTISEMENT
○대기업 해외 공장마다 데크 판매
2007년부터 줄곧 국내 1위 데크플레이트 자리를 놓치지 않은 덕신하우징의 숙제는 해외 시장 확대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이 회사의 국내 매출 비중은 96.5%에 달한다.김 회장은 “삼성 LG 등 국내 대기업들이 해외 공장을 지을 때 같이 나가서 현지 공장을 건설하고 데크플레이트를 납품해왔다”며 “무게와 부피 때문에 현지 조달이 돼야만 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13년 전 일본, 8년 전 베트남 시장 문을 처음 두드렸고 올해는 튀르키예에도 진출하려고 직원들을 파견했다”고 했다.
ADVERTISEMENT
그는 사재를 출연해 무봉(茂奉)장학재단을 세웠다. 70세 기념 앨범을 내면서 가수협회에 등록한 시기와 맞물린다. 매주 유튜브 채널에 올릴 영상을 촬영하는 등 가수로도 활동 중인 김 회장은 노래로 번 수익도 재단에 넣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