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가 폭발하는 순간 / 사진=교도 연합뉴스
카이로스가 폭발하는 순간 / 사진=교도 연합뉴스
16세기 초 영국의 헨리 8세(1491~1547년)는 군사력 증강을 위해 “지옥이라도 정복할 만큼 많은 대포를 갖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유럽의 변방이던 당시 잉글랜드에선 제대로 된 대포를 만들 인력도, 기술도 없었다. 최고의 대포는 독일제로 아우크스부르크의 베크 공장과 뉘른베르크의 자틀러 공장에서 제조되는 것들이었다. 독일의 대포 주조업자들은 정확하면서도 바퀴 네개짜리 마차로 옮길 수 있는 ‘가벼운(?)’ 대포를 만드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군사기술 분야에서 크게 낙후돼 있던 영국은 대륙의 장인들에게 대포 제작을 ‘부탁’할 수밖에 없었다.

헨리 8세는 플랑드르의 장인이었던 한스 포펜루이테르에게 대포 생산을 주문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플랑드르에서 만든 ‘미친 마거릿(Mad Margaret)’이라는 이름의 대포는 길이가 5.5m, 구경 54cm에 무게가 무려 15t에 이르는 대형포로 명성이 자자했다.

하지만 잉글랜드에서도 1541년 대포 제조에 있어 중요한 발전이 이뤄진다. 바로 성직자 윌리엄 레베트가 애시다운포트리스트에서 자체적으로 철제 대포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이다.

철제 대포는 깨지기 쉽고 대단히 무거웠을 뿐 아니라 청동 대포보다 정확도도 떨어졌다. 게다가 크게 만들기도 어려워졌지만 대신 각 지방의 군소 대장간에서 싼 가격에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결국 철제 대포 생산에 주력한 잉글랜드는 얼마 안가 철제 대포 수출국으로까지 성장하게 된다. 1574년이 되면 너무나 대포가 많이 수출된 탓에 정치가들이 대포수출을 금지하기에 이를 지경이 된다.

그렇지만 잉글랜드가 철제 대포 생산을 본격화하던 1550년대 시점에도 잉글랜드에선 대포의 표준화가 이뤄지지 못했다. 당시 잉글랜드에선 크기에 따라 16종의 대포가 있었다. 무게가 4t에 34㎏짜리 포탄을 발사하는 ‘왕대포(cannon-royal)’에서부터 무게가 136㎏에 140그램 정도의 조그마한 포탄을 발사하는 대포라고 하기도 뭣한 ‘라비네트(rabinat)’까지 다양한 대포들이 있었던 것이다. 1544년 볼로뉴 포위전에서 영국군은 11종류의 다양한 대포들을 동원했고, 대포마다 저마다 다른 크기의 탄환과 운송기구가 필요했다.

앞서 유럽대륙에서 신성로마제국의 칼 5세가 1544년 대포 구경을 일곱종류로 정리했고, 프랑스의 앙리 2세는 이를 다시 여섯종류로 줄여 통일했던 데 비하면 여전히 표준화에 뒤처져 있었던 것이다.

사실 유럽대륙에선 조잡한 철제 대포보다 깨질 확률이 적은 청동 대포가 15세기에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대략 백년전쟁 말기 크레시 전투쯤부터 부각되기 시작한 대포는 1347년 칼레전투에서 위력을 드러냈다. 1494년 9월 프랑스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쓸어버린 '백묵전쟁'에서 대포는 유럽 전투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확고히 굳혔다.

이 시기에는 특히 초대형 대포들이 명성을 크게 얻었다. 중세 이래 대포는 점점 커져서 15세기에는 거대한 구포(臼砲·bombarde)를 볼 수 있었다. 페르낭 브로델의 표현을 빌리면 “독일의 나무포대 위에 얹어놓은 천둥 치는 관(管)이란 뜻의 돈너뷕젠(Donnerbüchsen)은 나무 포대 위에 얹어놓은 괴물 같은 큰 청동관”이었다. 이것을 옮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다고 한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막시밀리안은 ‘기적의 대포’로 불리던 거포인 스트라스부르시의 '슈트라우스'(Der Strauss 타조)를 스위스 캉통들을 복종시키기 위해 1499년 스트라스부르에서 빌려 갔는데 하마터면 적의 손아귀에 떨어질 정도로 속도가 느렸다고 한다.

1500년 3월에는 밀라노공 루도비코 일 모로가 독일에서 밀라노로 6문의 대형 대포를 가져오게 했는데 이 중 2문이 도중에 부서진 것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1520년대 이후 대포는 보다 굵은 가루의 화약을 도입하면서 효율성이 개선됐고 이동성도 좋아졌다. 화약은 쉽게 불이 붙었고 한결 크고 무거운 포탄을 쉽게 쏠 수 있었다. 정확한 주조 기술 등이 도입되면서 보다 정확성도 높일 수 있었다.

특히 마차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져 군대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대포들이 등장했다. 이 이동식 대포들은 샤를 7세가 포르미니(1450년)와 카스티옹(1453년)에서 승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최근 일본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원(SPACEONE)'의 소형 고체연료 로켓 '카이로스'가 발사 직후 공중에서 폭발하는 일이 발생했다.

폭발로 끝난 로켓 발사 소식을 접하면서 한때 군사 강국을 꿈꾸며 서둘러 외국산 대포를 수입하던 잉글랜드의 모습, 그리고 초창기 자주 폭발하곤 했던 대포 개발사가 떠올랐다.

실패를 경험하지 않고 성공을 거두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웃 일본의 실패도 단순히 비웃기만 할 일은 아닌 것 같다.

김동욱 오피니언부장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