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투자자들, 금리 올려도 해외자산 대량 매도 안할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블룸버그 설문…본국으로 자산 회수 가능성 낮아
기업인들 "물가·임금 오르는 건 시간문제" 일본이 17년 만에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는 사람이 많지만 금리가 오르더라도 일본인들이 해외의 자산을 대량 매각해 자국으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블룸버그 마켓팀이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 등을 통해 독자 273명을 대상으로 일본 금리 영향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약 40% 정도가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면 일본 투자자들이 해외 자산을 매각하고 그 대금을 본국으로 송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18∼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어 2016년 2월부터 취해온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끝낼 것인지 여부를 논의한다.
시장에서는 정책금리를 소폭 인상해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일본의 금리 인상 폭이 작으면 일본과 다른 주요국과의 금리차가 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별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일본은 4조4천30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해외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일본의 금리정책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 어떤 변화를 줄지 주목되고 있다.
파이브스타 자산운용의 히데오 시모무라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일본의 개인 자금이 해외 채권과 주식으로 많이 유출되고 있음을 목격하고 있다.
일본의 제로 금리 정책이 종료된다고 해서 이런 추세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10여년간 일본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며 미국이나 조세회피처로 유명한 케이맨 제도 등에 자금을 투자해왔다.
일본의 금리정책 변화가 예측되는 중에도 일본 투자자들은 2023년에 18조9천억엔 규모의 해외 채권을 사들인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두 달 동안 3조5천억 엔어치의 해외 채권을 더 사들였다.
해외 채권 매수세는 요즘 더 강해졌다.
개인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매입도 최근 몇 달간 증가했다.
설문 참가자들은 또한 일본 주식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적으로 봤다.
응답자 중 45%는 일본 주식이 구조적으로 저렴하다고 답했다.
스미토모 미쓰이 신탁은행의 아야코 세라 애널리스트는 "시장에 충격이 있겠지만 구조적 하락세로 갈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면서 "엔/달러 환율이 120 정도까지 간다면 주가가 영향을 받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일본의 기업인들은 금리 인상이 물가와 임금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리크루트 홀딩스의 히사유키 이데코바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금리를 올리면) 결국 일본 기업들은 품목 가격을 인상할 수 있으며, 이는 근로자들의 급여와 시간당 임금을 올리는 첫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정책금리가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도 "단지 시간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본 최대 양조업체 아사히 그룹 홀딩스의 아쓰시 가쓰키 대표도 "3월이든 4월이든 금리를 올릴 것은 분명하다"면서 "경제가 좋아지면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쿄 쇼코 리서치가 4천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약 70%는 이미 금리 인상을 경험했거나 올해 중반까지는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기업인들 "물가·임금 오르는 건 시간문제" 일본이 17년 만에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는 사람이 많지만 금리가 오르더라도 일본인들이 해외의 자산을 대량 매각해 자국으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블룸버그 마켓팀이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 등을 통해 독자 273명을 대상으로 일본 금리 영향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약 40% 정도가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면 일본 투자자들이 해외 자산을 매각하고 그 대금을 본국으로 송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18∼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어 2016년 2월부터 취해온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끝낼 것인지 여부를 논의한다.
시장에서는 정책금리를 소폭 인상해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일본의 금리 인상 폭이 작으면 일본과 다른 주요국과의 금리차가 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별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일본은 4조4천30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해외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일본의 금리정책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 어떤 변화를 줄지 주목되고 있다.
파이브스타 자산운용의 히데오 시모무라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일본의 개인 자금이 해외 채권과 주식으로 많이 유출되고 있음을 목격하고 있다.
일본의 제로 금리 정책이 종료된다고 해서 이런 추세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10여년간 일본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며 미국이나 조세회피처로 유명한 케이맨 제도 등에 자금을 투자해왔다.
일본의 금리정책 변화가 예측되는 중에도 일본 투자자들은 2023년에 18조9천억엔 규모의 해외 채권을 사들인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두 달 동안 3조5천억 엔어치의 해외 채권을 더 사들였다.
해외 채권 매수세는 요즘 더 강해졌다.
개인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매입도 최근 몇 달간 증가했다.
설문 참가자들은 또한 일본 주식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적으로 봤다.
응답자 중 45%는 일본 주식이 구조적으로 저렴하다고 답했다.
스미토모 미쓰이 신탁은행의 아야코 세라 애널리스트는 "시장에 충격이 있겠지만 구조적 하락세로 갈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면서 "엔/달러 환율이 120 정도까지 간다면 주가가 영향을 받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일본의 기업인들은 금리 인상이 물가와 임금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리크루트 홀딩스의 히사유키 이데코바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금리를 올리면) 결국 일본 기업들은 품목 가격을 인상할 수 있으며, 이는 근로자들의 급여와 시간당 임금을 올리는 첫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정책금리가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도 "단지 시간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본 최대 양조업체 아사히 그룹 홀딩스의 아쓰시 가쓰키 대표도 "3월이든 4월이든 금리를 올릴 것은 분명하다"면서 "경제가 좋아지면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쿄 쇼코 리서치가 4천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약 70%는 이미 금리 인상을 경험했거나 올해 중반까지는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